PUKYONG

공장 건축물 내 방화댐퍼 유지관리 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 및 제도개선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소방안전관리자의 법적 업무 중 피난시설ㆍ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에 관한 사항 중 공조, 배기 덕트에 사용되는 방화댐퍼는 소방시설 법적점검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공조, 배기 덕트가 높은 위치에 설치 및 다른 배관 등의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방화댐퍼를 작동시키는 방식이 온도퓨즈(퓨즈댐퍼)타입으로 설치 돼 있어 별도의 점검기준이 없고, 설치 후 유지보수가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조, 배기덕트에 설치되는 방화댐퍼의 설치기준은 있으나, 유지관리에 대한 세부 기준은 없어 실태조사를 통한 설치기준의 문제점 도출과 유지관리 기준을 검토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The ducts that pass through the fire protection compartment of the building are specified in the "Rules for Standards on the Evacuation and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to prevent fire propagation and expansion of combustion to install a fire damper. Although it is recommended to present the standard and check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e test and the fire resistance test method, there is no detailed standard for the maintenance, and the operation function is not checked and maintained after the fire damper is installed. Since the duc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due to the production, the movement of the goods, etc., it can not be checked and maintain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iping under the duct and the movement of the goods. In the case that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fire damper is a thermal fuse it is difficult to ensure reliable operation and reli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
Author(s)
정성희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397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7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소방공학과
Advisor
최준호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2 장. 방화댐퍼의 관계법규 및 선행연구 분석
2.1. 관계법령 및 기준
2.1.1.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2.1.2. 방화댐퍼의 설치 및 성능기준
2.1.3. 자동방화셔터 설치 및 성능기준
2.1.4. 방화문의 설치 및 성능기준
2.1.5. 제연댐퍼의 설치 및 성능기준
2.1.6. 방화댐퍼 및 제연댐퍼의 설치 및 성능기준 비교
2.1.7. 배연설비의 설치기준
2.2. 선행연구 분석
2.2.1. 국내 선행연구 분석
2.2.2. 해외기준 비교 분석

제 3 장. 현장 실태조사를 통한 방화댐퍼설비의 문제점 도출
3.1. 현장 실태조사의 개요
3.1.1. 대상지 선정
3.1.2. 실태조사 방법 및 개요
3.2. 점검항목 및 현장 실태조사의 결과
3.3. 현장 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 도출

제 4 장.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4.1.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
4.1.1. 설문조사 대상
4.1.2. 설문조사 방법 및 내용
4.1.3. 설문조사 결과 분석
4.2. 관련기준 개선방안
4.2.1. 방화댐퍼 관련 규정의 기준 일원화 및 설치기준 재정비
4.2.2. 방화댐퍼 관련 유지관리의 기준 법제화

제 5 장.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

Abstract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소방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