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건축공사의 지명하도급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Abstract
- 하도급 불공정 개선에 관해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주도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여러 가지 제도적인 개선 대책이 제시되었다. 동 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하도급 관련하여 저가 수주 및 발주 과정이나 시공단계에서의 불합리한 현상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배순호 2011) 공공부문에서 정책적 의지로 발주처 주도에 의한 하도급 직발주 제도의 보급을 위해 다양한 개선 대책을 제시해 왔지만 기대하는 정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국내 건설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부문 건축공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발주자와 건설업체 간의 도급공사 계약 조건 특히 공사비의 지급 및 정산 관련한 계약구조가 하도급 저가발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현실적으로 건설업체가 안고 있는 예산 상의 제약 조건을 살펴 보면 하도급 저가발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설업체와 하도급 업체 간에 국한된 사적 계약의 부수물로 한정하지 말고 발주자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많은 민간건축의 발주자와 건설업체에서 건설업의 고질적인 하도급 불공정 거래를 개선하기 위한 배전의 노력을 경주하여 더욱 발전적인 모습으로 소비자에 공헌하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General contractors play a very big role in private construction sectors of Korea. That is mainly due to the legal requirement that mandates general contractor should assume the ultimate and sole responsibility to lead the construction project to eventual completion and registration.
As general contractors are bound to frugality in cost management most of the local subcontractors are obliged to offer their best price when invited to competitive tender and this will eventually cause them to suffer from financial deterioration and subsequent quality deterioration. From the developers’ viewpoint as they have to engage a general contractor into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contract to secure project finance arrangement, local developers have no time to spare and wait until the construction documents are well developed to satisfactory details. Consequently by the time when subcontractors are fully engaged in construction and finish materials are delivered, big arguments persist due to budget shortage. More often than not peaceful compromise between the owner , the contractor or the subcontractors becomes harder to attain without hurting one party or another.
As a realistic solution to help all party concerned,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so called nominated subcontract system is engaged into the main contract between the owner and the general contractor. This will prove especially useful when they want to commence the project immediately before every finish details are well documented by the architect and engineers. Subcontractors’ nomination is relatively new and widely unaccepted in local industry, however, it has been partially in practice for many years on special occasions. I believ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nominated subcontract system to a wide range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projects will make a big contribution to help the owner to procure a better quality product by relieving the subcontractors from price cutting competition and general contractors from budgetary deficit as well. The eventual purpose is to help the consumer to get the better construction product.
- Author(s)
- 이광재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03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1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김수용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1
제2장 선행연구 고찰 3
2.1 하도급거래의 불공정실태와 개선목표 4
2.2 다공종 통합발주 제도 6
2.3 부대입찰 및 부대계약 제도 9
2.4 주 계약자 공동도급제도 10
2.5 분리 발주 11
2.6 건설업체의 직접 시공 15
2.7 CM at Risk 16
2.8 소결 17
제3장 발주제도 개선방안 19
3.1 이해관계자 20
3.2 목표와 입장 22
3.3 예산의 확보와 관리 23
3.4 공사도급계약 24
3.4.1 총액도급계약 26
3.4.2 실비 보수 가산방식 27
3.4.3 도급계약방식의 하도급 영향 28
3.5 발주제도 개선방안 29
3.5.1 민간부문 우선도입 29
3.5.2 도급계약방식 선별적용 30
3.5.3 시공사의 통솔권 존중 30
3.5.4 시공사 책임에 대한 보상 32
3.6 소결 33
제4장 지명하도급 제도 34
4.1 지명하도급의 개념 35
4.2 실시설계도서의 작성책임 36
4.3 지명하도급 수행절차 36
4.3.1 공사도급계약 37
4.3.2 발주계획서 작성 38
4.3.3 입찰도서 작성 38
4.3.4 후보군 명단작성 39
4.3.5 입찰 39
4.3.6 낙찰 40
4.3.7 지명통지 및 계약 40
4.3.8 사후관리 40
4.4 보수 41
4.4.1 수급인의 책무 41
4.4.2 보수의 개념 42
4.4.3 보수의 내역 42
4.5 지명하도급 부수효과 44
4.5.1 사업추진기간 44
4.5.2 사업예산 44
4.5.3 품질 44
4.5.4 융통성 45
4.5.5 네트워크 45
4.6 주요 논쟁 45
4.6.1 계약거부권 45
4.6.2 계약해지권 46
4.6.3 지정방식과 시기 46
4.7 지명하도급 도입시 문제점 47
제5장 결론 50
참고문헌 51
감사의 글 5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