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숲 조성사업의 운영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BSC, AHP, IPA를 활용하여 균형되고 포괄적인 시각에서 바다숲 조성사업의 운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은 바다숲 조성사업의 운영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BSC의 4가지 관점별로 바다숲 조성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CSF와 KPI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AHP를 활용하여 BSC의 4가지 관점과 CSF, KPI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결정한 후에 그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바다숲 조성사업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BSC의 4가지 관점에 대한 8개의 CSF와 16개의 KPI를 도출하였다. 둘째, AHP를 활용하여 BSC 관점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고객 관점이 가장 높았고, 재무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를 활용하여 BSC 관점들의 중요도와 성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과 성장관점은 과잉투자 영역으로, 내부프로세스 관점은 점진개선 영역으로, 재무 관점과 고객관점은 중점 개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16개의 KPI에 대한 IPA 분석도 실시하여 향후 바다숲 사업의 운영성과 제고를 위한 지표별 개선 영역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바다숲 조성사업의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를 BSC 측면에서 처음으로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서 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로 인해 바다숲 사업의 운영성과를 보다 균형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Operational Performance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on a balanced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by using BSC, AHP, and IPA.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and to suggest the future improvement plan.
For this purpose, we first determined th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requir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from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And, after determining the weight for each of CSF, KPI, and four perspectives of BSC by using AHP, we measured the project performance. We also conducted IPA analys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rawn 8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16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four BSC perspectiv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xpert interview survey.
Second, as a result of deriving relative importance of BSC perspectives using AHP, customer perspective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financial perspectiv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SC perspectives using IPA,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as shown as the excessive investment category,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s the gradual improvement category, and financial perspective and customer perspective as the key improvement category. In addition, IPA analysis of 16 KPIs was also conducted to suggest improvement category by indicator to improv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future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was the first tria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in terms of BSC.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various discussions for a balanced and comprehensive verification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performance.
- Author(s)
- 조순제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03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88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컨설팅협동과정
- Advisor
- 홍재범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절차 및 구성 4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제1절 바다숲 조성사업 6
1. 사업 추진배경 6
2. 사업 추진절차 13
3. 사업 추진실적 15
4. 사업 평가체계 17
제2절 바다숲 사업의 성과분석 선행연구 19
1. 경제적 가치평가 분석 19
2. 생태적 가치평가 분석 26
3. 선행연구의 한계 27
제3장 연구방법 29
제1절 개요 29
제2절 균형성과표(BSC) 32
1. BSC 개요 32
2. BSC 4가지 관점 34
3. BSC 구축 절차 39
4. BSC 구축 선행연구 42
제3절 계층화 분석과정(AHP) 47
1. AHP 개요 47
2. AHP 구성원리 및 공리 48
3. AHP 수행 절차 49
4. AHP 기법의 유용성 54
제4절 중요도-만족도 연관 분석(IPA) 55
1. IPA 개요 55
2. IPA 매트릭스 56
3. IPA 매트릭스의 축 결정 57
4. IPA 효용성과 한계 58
제4장 연구 결과 59
제1절 평가모형(BSC) 59
1. BSC 모형 도출 개요 59
2. BSC 모형 초안 설계 60
3. BSC 모형 타당화 62
4. BSC 모형 최종 확정 65
제2절 중요도 결정(AHP) 69
제3절 성과분석(IPA) 75
제5장 결 론 85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8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89
참고문헌 91
부 록 96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경영컨설팅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