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항 항만하역근로자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argo-Working Employee's Recognition of Working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an Oraganization Commitment in Port Indusrty
Abstract
Globally, more than 90 percent of all international commerce takes place via sea freight. In terms of container cargo volume, Busan Port is the world's sixth-largest Port thanks to its geographical conditions. In addition to the geographical advantage, cargo working industry that meets customers' demand by operating delivery system 24-hours also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Busan Port as a global hub por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and studies on working condition of sevedore, even though the port industry heavily relies on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awareness of working environment of cargo-working employee's in Busan Port, and their satisfaction rate on their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wo shifts in a 24-hour period.
Author(s)
김태민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Keyword
부산항 항만 근로자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06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670
Alternative Author(s)
Tae Min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하명신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II. 이론적 배경 6
1. 항만하역근로자에 대한 이해 6
1.1 부산항 현황 6
1.2. 하역의 의의 9
1.3. 하역작업의 분류 및 특성 10
1.4. 항만근로자의 개념 및 특성 12
1.5. 부산항 항만하역 근로자 현황 14
2. 근무환경 18
2.1. 근무환경의 개념과 정의 18
2.2. 근무환경의 구성 요인 22
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이해 26
3.1. 직무만족의 개념 및 정의 26
3.2. 직무만족의 구성 요인 30
3.3. 조직몰입의 개념 및 정의 33
3.4. 조직몰입의 구성 요인 37
III. 연구설계 41
1. 연구모형 42
2. 연구 가설 설정 42
2.1.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42
2.2.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43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5
3.1. 근무환경 측정변수 45
3.2. 직무만족 측정변수 45
3.3. 조직몰입 측정변수 46
4. 조사대상의 선정 및 분석 방법 47
4.1. 조사대상의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47
4.2. 분석방법 48
IV. 실증 분석 50
1. 일반적 특성 50
1.1. 자료 수집 50
1.2. 표본의 일반적 특성 50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2
3. 가설의 검증 55
V. 결론 59
1. 연구결과의 요약 61
2. 연구의 시사점 도출 61
2.1. 학문적 시사점 62
2.2. 실무적 시사점 63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64
참고문헌 65
부록 6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