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FT 중합방법을 이용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마이셀의 가교화
- Abstract
- amphiphilic 블록 공중합체는 hydrophilic 한 성질을 가진 poly(acrylic acid)와 hydrophobic 한 성질을 가진 poly(styrene)은 trithiocarbonate macro-RAFT agent를 통해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transfer polymerization(RAFT)중합법으로 합성을 하였다. hydrophobic한 poly(styrene)의 길이에 따라 star형 마이셀 와 crew-cut 마이셀을 만들었다. 이어서 마이셀의 코어(core)와 쉘(shell)에서의 가교화 반응은 divinylbenzene (DVB) 의 in situ RAFT 중합을 통해 완수하였다. 마이셀의 가교화를 통해 제한된 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었다. PAA-b-PS 및 가교화된 PAA-b-PS-b-PDVB 공중합체의 morphology 및 특성을 FT-IR, TEM, FE-SEM 과 DLS를 통해 확인하였다.
- Author(s)
- 장명재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0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818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이미지시스템공학과
- Advisor
- 임권택
-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List of Figures ‥‥‥‥‥‥‥‥‥‥‥‥‥‥‥‥‥‥‥‥‥‥‥‥‥
ⅲ
List of Scheme ‥‥‥‥‥‥‥‥‥‥‥‥‥‥‥‥‥‥‥‥‥‥‥‥‥
ⅴ
Abstract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2.1. 블록 공중합체 ‥ ‥‥‥‥‥‥‥‥‥‥‥‥‥‥‥‥‥‥‥‥‥‥
4
2.2.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
6
2.2.1. 마이셀 ‥‥‥‥‥‥‥‥‥‥‥‥‥‥‥‥‥‥‥‥‥‥‥‥‥
6
2.2.2. 마이셀의 응용분야 ‥‥‥‥‥‥‥‥‥‥‥‥‥‥‥‥‥‥‥‥
9
2.2.3. 가교화된 마이셀 ‥‥‥‥‥‥‥‥‥‥‥‥‥‥‥‥‥‥‥‥‥
10
2.3. 리빙 라디칼 중합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
12
2.3.1. 전통적인 라디칼 중합과 리빙 라디칼 중합의 차이 ‥‥‥‥‥
12
2.3.2. Nitroxide Mediated Radical Polymerization(NMP)‥‥‥‥
14
2.3.3.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ATRP) ‥‥‥‥‥
14
2.3.4.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Polymerization (RAFT)‥
16
2.4. 연구의 목적 ‥‥‥‥‥‥‥‥‥‥‥‥‥‥‥‥‥‥‥‥‥‥‥
18
Ⅲ. RAFT중합법을 이용한 Poly(acrylic acid)-b-Poly(styrene)의 합성과 DVB 첨가에 의한 마이셀의 제한적 안정성 극복
19
3.1. 실험서론
20
3.2. 실험방법
22
3.2.1. 시약
22
3.2.2. 3-(benzylthiocarbonothioylthio)propanoic acid의 합성
22
3.2.3. poly(acrylic acid) (PAA) trithiocarbonate macro-RAFT agent의 합성
23
3.2.4. PAA-b-PS 다이블록 공중합체 합성
24
3.2.5. 코어가교(core cross-linked)된 고분자 마이셀
25
3.2.6.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25
3.3. 결과 및 고찰
27
3.3.1. PAA-b-PS의 합성
27
3.3.2. ethanol에서 core-crosslink 된 마이셀의 합성
30
3.4. 결론
36
3.5. Reference
3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이미지시스템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