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양방향 둥지격자 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여름철 강수 모의에서 수평해상도의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mpact of Horizontal Resolution o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Simul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Two-way Nesting Method
Abstract
특정한 지역의 상세 기후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술은 지역 기후모델을 이용하는 것이며 많은 연구자들이 지역기후 모델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강수모의에 수평해상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Lee at al. 2008, Sung et al. 2014, Kim et al. 2016).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인 내삽과정을 필요로 하고 (Wu et al. 2004), 서로 다른 두 모델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에러를 유발할 수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Leung et al. 2003). 위와 같은 에러는 고해상도 전지구 모델을 이용하거나, grid nesting 기법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피할 수 있으나, 고해상도의 전지구 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산자원 활용의 관점에서 다소 비현실적일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델은 독일의 현업모델인 ICON 모델로서 비정역학 코어를 사용하며, 전 지구를 정20면체 격자로 표현한다. 또한 two-way nesting 기법을 적용할 수 있어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ON 모델에서 two-way nesting 기법을 활용하여 한반도 여름 몬순 강수를 전지구 40-km, 동아시아 10-km로 모의하고 수평해상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RMSE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udent’s t-test, Contingency table 등이 모델 결과자료를 비교하기 위해 이용되었고, 그 결과에서 상세 도메인에서 지형효과에 의한 강수분포가 더 잘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two-way nesting을 적용하지 않은 실험과 비교했을 때, 모델 기후값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세 도메인에서 전지구 도메인으로의 피드백 효과에 따라 two-way nesting을 적용한 실험에서 관측과의 오차가 줄어들며, 강수유무를 보다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김가은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11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38
Alternative Author(s)
Gaeun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dvisor
오재호
Table Of Contents
요약 vii
1.Introduction 1
2.Model and Experiment 3
2.1. Model description 3
2.2. Experimental Design 8
2.3. Observational Data 12
2.4. Analysis method 13
3.Results 17
3.1.Model climatology comparison 17
3.2.Effect of horizontal resolution increase 20
4.Conclusion 36
5.References 3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