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 Alternative Title
-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 Abstract
- 우수한 인재 양성은 전 세계 교육의 쟁점 중 하나이다. 과거와 달리 우수한 인재에 대한 기준은 단순히 지적 능력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문제해결력과 문제를 접근해가는 창의력이 더불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우수한 능력을 지닌 영재들을 길러내기 위해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 중 유아기에 영재를 조기 판별하여 유아의 흥미와 능력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교사의 질은 높은 교육적 효과의 창출과 연결되며 특히 유아영재교사가 가지는 가치관과 인식 및 지식은 유아영재를 만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유아교사들이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유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지식수준을 범주화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및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영재교육에 대해 교사들의 지식 및 구조를 살펴보고,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해 어떤 개념들을 가지고 있고, 지식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유아영재 교사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어 교사 전문성을 향상하고, 현장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을 알아보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38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y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6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highest subcategory was ‘gifted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and ‘gifted education curriculum’, the highest specificity measure was ‘gifted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and ‘gifted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density degree ranged between 0.75- 9.33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oording to the frequency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Author(s)
- 황경하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유아영재 영재교육 유아영재교육 영재 개념도 유아교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14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151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Advisor
- 황희숙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유아 영재교육 6
가. 영재성의 정의 6
나. 유아 영재교육의 목표 및 내용 9
2. 개념도 11
가. 개념도의 정의 11
나. 유아교사교육에서 개념도의 유용성 13
다. 개념도의 작성 및 분석 14
Ⅲ. 연구 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연구 도구 17
3. 연구 절차 17
가. 예비조사 17
나. 본 조사 18
4. 자료 분석 18
가.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 분석 19
나.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의 수준 분석 2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5
1. 유아교사의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의 내용 25
가. 교사들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내용과 내용별 빈도 25
나. 유아 영재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상위개념의 내용 27
다. 교사들의 개념도에 나타난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종속개념 29
2. 유아교사의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의 수준 42
가. 상위개념의 특성 42
나. 밀도 46
Ⅴ. 논의 및 결론 48
1. 요약 및 논의 48
2. 결론 및 제언 51
53
개념도의 예 59
표 목차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16
밀도 계산의 에 24
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진 상위개념의 빈도 25
Davis와 Rimm & Siegle의 영재교육의 주요개념에 따른 상위개념 빈도 27
상위개념 ‘영재의 특성’에 포함된 종속개념 29
상위개념 ‘영재 판별’에 포함된 종속개념 32
상위개념 ‘심화 및 속진’에 포함된 종속개념 33
상위개념 ‘사고 기술 학습 및 창의성 ’에 포함된 종속개념 35
상위개념 ‘특수 영재’에 포함된 종속개념 36
상위개념 ‘영재 부모 역할’에 포함된 종속개념 38
상위개념 ‘영재 상담’에 포함된 종속개념 39
상위개념 ‘영재 교육과정’에 포함된 종속개념 40
상위개념의 위계 42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의 총 수 43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특성점수의 평균 44
상위개념의 특성 45
교사 개념도의 밀도 46
그림 목차
[그림 1] Nobak(1979)이 소개한 선행조직자의 인지적 다리 12
[그림 2] 개념도의 구성요소 19
[그림 3] 유아 영재교육 개념도의 예 22
[그림 4] 교사 개념도의 밀도 그래프 4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