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와 문법을 활용한 초등학생 영어 쓰기 지도방안
- Abstract
- 본 연구는 영어 문법 교수·학습이 학생들의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논리적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을 구사함으로써 자신감을 갖기 위함에 있다. 즉, 영어 교육 내용이 음성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능력은 물론, 읽고 쓰는 능력을 포함하는 능력 함량도 포함해야 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읽기 교육을 통하여 영어적 사고방식을 갖게 할 수 있는가?
둘째, 읽기를 활용하여 배운 문법 내용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 로 기술 할 수 있는가?
셋째, 문법을 통한 논리적 자기표현이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데 도
움이 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 사설 영어 학원에서 영어 공부를 하고 있는 초등학생 6학년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소규모 연구를 실시하였다. 9명의 학생들은 6세부터 영어 공부를 시작하였고 영어 말하기 중심으로 교육 받은 학생 3명, 말하기와 독서 교육 중심 3명, 영어 독서 및 문법 중심으로 교육 받은 학생 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를 위해 문법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고, 2017년 7월과 8월 두 달에 걸쳐 실시하였고 영어 문법 수업 및 영어 독서 교재를 선정하여 진행 하였다. 영어문법은 현재완료와 수동태를 선정하였고, 영어책 2권을 선정하여 배운 문법을 활용하여 문장 쓰기를 접목시켰다. 또한 사전·사후 평가지를 통해 학습자의 읽기, 문법, 쓰기 능력 향상도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비교 분석 하여 내린 결론은 첫째, 책 읽기를 활용하면서 문법 지도한 부분은 학생들이 스스로 문법구조를 생각하며 읽는 것을 강조하며 집중해서 학습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읽기, 듣기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였고 문법에 있어서도 흥미도와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법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쓰기 및 영어 학습 전반에 걸쳐 자신감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져 있었고 학생들의 인원도 많지 않은 제한점이 있으며, 수업 시수 또한 주당 3시간이라는 많은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가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위와 같은 연구 활동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2언어를 학습하는 상황에서 규칙과 구조를 학습하지 않고 그 언어를 유창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므로 수준에 맞는 문법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 이다.
둘째, 읽기를 활용한 문법 지도를 위해 교육과정과 긴밀하게 연계된 책의 목록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문법 지도 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논리적 자기표현을 위해서는 단어의 향상만으로는 글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쓰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말하기, 듣기, 읽기와 통합적인 수업을 설계한다면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쓰기 능력은 단기간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료나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공받는다면 영어 쓰기에 있어서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읽기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에 동기를 유발시키고 문법 교육을 통해 지식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통해 자신감을 잦도록 영어 쓰기를 지도 한다면 학생들의 영어 능력 신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students’ confidence in English grammar learning by improving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rough meaningful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n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studying English at a local private English academy in Busan. They were grouped into three different treatment types, that is, three students focusing on English speaking skills, three focusing on speaking and reading skills, and the last three focusing on English reading and grammar skill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mmar lessons on the learners,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in early July and late August 2017, and the pre-/post-tests were given to them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grammar structures by reading the materials focusing on the grammar points. That is, the grammar lessons that led to using the book reading enabled the students to think and read the grammatical structure themselves, which seem to yield positive effects on them.
Second, the writing activities using reading materials improv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and improved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grammar.
Lastly, the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essons using gramma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self-confidence improved in writing and English learning. However,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mall scale in a private language institute,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 hours per week, and the liberty of utilizing various other materials, so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o public English teaching contex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seems impossible to express the target language fluently and accurately without learning its rules and structures. Thus, it seems beneficial to the students to present grammatical lesson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systematically
Second, a list of books closely linked to the curriculum for reading and grammar instruction could be developed and a variety of grammar teaching materials using the books could be developed.
Third, for logical self-expressions, there is a limit to expressing words through teaching them separately. Therefore, integrating the four language skills along with grammar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overall English ability.
Lastly, students' writing ability may not be acqui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us, providing reading materials to motivate learning, systematically learning knowledge through grammar promotion, and teaching English writing with building self-confidence through constant interest to the students and paying a careful attention and care, could contribute a great deal.
- Author(s)
- 천문주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대학도서관 도서관 온라인주제가이드 주제가이드 도서관서비스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16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150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박매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1 연구의 필요성 1
1.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2
1.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2. 1 읽기와 쓰기의 정의 4
가. 읽기의 정의 4
나. 쓰기의 정의 5
2. 2 읽기와 쓰기 상관관계 6
2. 3 읽기와 쓰기 통합 연구 사례 8
2. 4 문법 지도의 필요성 9
가. 문법 지도의 긍정적 견해 10
나. 문법 지도의 부정적 견해 11
2. 5 문법과 쓰기 상관관계 12
Ⅲ. 연구 방법 14
3. 1 연구 대상 및 기간 14
3. 2 연구 도구 15
가. 사전·사후 설문지 15
나. 사전·사후 평가지 16
3. 3 수업 내용 및 활동 16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20
4. 1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 결과 분석 20
4. 2 문법 학습 효과 및 구사력 향상 분석 23
4. 3 학습 유형에 따른 문법 결과 분석 28
Ⅴ. 결론 및 제언 33
5. 1 결론 33
5. 2 제언 35
참고 문헌 38
부록 1 42
부록 2 4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