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양시(沈阳市) 대학생의 “한류” 콘텐츠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Korean Wave”Contents Access of undergraduates in Shenyang, China
- Abstract
- Undergraduate students as very valuable human resources of society and also is the hope of the nation and the future of the country. Most of undergraduate can be easily influence by exotic culture, for example, the Korea soap opera and TV show. Those TV program could put an outstanding influence to those undergraduates due to the value forms of those students are not stable yet, as a result, they are not able to recognize the behavior of the TV character is appropriate or not. Base on this background, this paper will analyzes the reason why Korean TV program are so popular and how they develop in China. This paper validates and analyses the theory research by demonstration analysis method, which is done through a questionnaire inquisition. This research sent 300 questionnaire inquisitions among three universities in Shenyang (300 has been sent back); then the data has been process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aid of software SPSS 24.0. In conclusion, Korean TV program can influence the undergraduate by two sides: The one side is it can interest their college life of college, help them learn about the unique culture of Korean, encourage students to create positive values of life and inspire their morale, help them to establish correct family values and noble moral values. On the other side, the Korean program may deliver the inappropriate love concept and consumption concept.
Based on the reference to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on Korean television programs and their impact o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in Shenyang and draws the above conclusions. Therefore, the sample selection has randomness and one-sidedness. The research results are limited in scope and in the frequency analysis. It is hoped to provide the precedent enlightenment for the related research. In the follow-up study, the study scope will be further expanded and the theoretical level of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deepened.
- Author(s)
- 펑쉬엔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Korean drama films entertainment shows Undergraduate students influence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17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803
- Alternative Author(s)
- FENG XUA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중국학과
- Advisor
- 김창경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1
가. 연구 배경 1
나. 연구목적 3
제2절 선행 연구 5
가. 국내 연구 5
나. 국외 연구 7
제3절 연구 방법과 연구 구성 11
가. 연구 방법 11
나. 연구 구성 12
제2장. 한국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중국 진출 현황 14
제1절 한국 드라마의 진출 현황 14
가. 1 단계: 1993-2001 15
나. 2 단계: 2002-2006 16
다. 3 단계: 2007-2012 “반 한류”(反韩流) 18
라. 4 단계: 2013-현재 19
제2절 한국 영화의 진출 현황 21
가. 발전 단계: 1998-2013 22
나. 전성 단계: 2014-현재 23
제3절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진출 현황 26
가. 발전 단계: 2003년 이전 – 2012년 26
나. 전성 단계: 2013년 이후 28
제3장. “한류”콘텐츠의 융성 원인과 특징 31
제1절 “한류”콘텐츠의 융성 원인 31
가. 한국의 문화 산업 정책 31
나. 한중 문화의 유사성 33
다. 한국 문화의 홍보와 톱스타의 영향 35
제2절 한국 “콘텐츠”독특한 특징 36
가. 내용과 서사 방식 36
나. 소재와 장르의 다양성 37
다. 시청각적 구성의 우수성 38
제4장. 선양 대학생의 “한류”콘텐츠 시청 현황 40
제1절 선양 대학생의 드라마, 영화 시청 현황 40
가. 기본 상황 40
나. 선양 대학생의 영상 시청 행태 41
(1) 시청 경험 41
(2) 시청 경로 41
(3) 시청 동기 42
(4) 시청 종류 43
제2절 선양 대학생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시청 현황 44
가.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 빈도 44
나.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 평가 45
제5장. 선양 대학생의 한국“한류”콘텐츠에 대한 인식 47
제1절 적극적 인식 48
가. 풍부한 정신문화 생활 48
나. 적극적 인생 가치관 형성 52
다. 올바른 가정 관념과 고결한 도덕적 가치관 수립 54
제2절 부정적 인식 58
가. 애정관 58
나. 소비관 61
제6장. 결론: 요약과 한계점 65
가. 요약 65
나. 한계점 66
참고문헌 67
설문지(한국어) 7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중국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