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and evolution of bow echo associated with terrain in Jeju island, Korea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2012년 7월 13일 제주도 지역에서 발생한 보우에코의 구조와 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레이더, 고층관측자료, 자동기상관측자료 (AWS) 등을 사용하여 보우에코의 종관적 환경과 강수 시스템 내부의 3차원 구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보우에코가 통과하기 이전의 고층 관측자료(0900 LST)에서 중층(550 hPa)에 습윤역이 존재하였다. 잠재적 불안정도를 나타내는 CAPE는 511 J Kg^(-1)으로 선행연구(Weisman, 199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였으며, 가강수량은 69.77 Kg m^(-2)로 대기중에 높은 수증기량을 보였다.
제주도 남서쪽에서 관측된 대류셀은 북동진하여 제주도를 통과하면서 활 모양의 에코로 발달하였다. 발달 기간과 특징에 따라 제주도 풍상측과 풍하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주도에 진입한 대류셀은 풍상측에서 1150 – 1230 LST 동안에 선형의 형태로 발달하였다. 풍하측에서는 우회하는 바람(Fr = 0.27)의 수렴으로 대류셀이 하층에서 발달 (1240 –1300 LST) 하였다. 따뜻하고 습윤한 환경에서 대류 셀의 전면을 따라 지상으로 상대적으로 강한 바람(rear-inflow jet, RIJ)의 급격한 하강과, 보우에코의 중심 뒤에서 강한 대류가 발달하여 한기대가 생성되었다. 강한 지상풍과 함께 보우에코의 가장자리에서 저기압성과 고기압성 회전이 관측되었다. 제주도를 통과한 대류셀은 북동진하여 콤마에코 형태(1330 LST)를 보이며 쇠퇴하였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발생한 보우에코는 대류 불안정도가 511 J Kg^(-1) 으로 낮고 한라산을 우회하는 바람(Fr = 0.27)의 하층 수렴으로 인해 rear-inflow jet 가 강화되어 한기대가 형성 유지되어 발달하는 특성을 보였다.
- Author(s)
- Yun-Hee Kang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829
- Alternative Author(s)
- 강윤희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대기과학과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1.Introduction
2.Data and analysis method
3. Results
3.1 Synoptic and mesoscale environment
3.2 Radar echo characteristics
3.2.1 Evolution of precipitation system
3.2.2 Hovmoller diagram
3.3 Three-dimensional kinematic structure of precipitation system
3.4 Surface weather conditions
4.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Acknowledgements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대기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