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 다대포 연안 요각류 군집의 수괴-저서 커플링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Benthic-pelagic coupling of copepod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Dadaepo, Korea
Abstract
일부 연안성 요각류는 환경 변화에 대한 생존 전략으로 휴면란을 생성한다.
휴면란은 수괴-저서 커플링으로 연안성 요각류 군집의 계절적 변동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커플링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대포 연안 요각류 군집과 휴면란 밀도의 계절적 변동, 상관관계 및 휴면란의 MtCOⅠ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두 달 간격으로 conical net (망구 45 cm, 망목 330 ㎛)를 이용해 채집하였으며, 동물플랑크톤 채집 시 수온과 염분을 CTD (OCEAN SEVEN 305 Plus)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동일한 기간에 van Veen grab을 이용해 퇴적물을 채집한 뒤 휴면란을 분리했다. 휴면란의 MtCOⅠ 영역은 2017년 1월, 5월, 7월, 9월에 Illumina MiSeq system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요각류와 휴면란의 밀도는 채집 월별로 다양했다. 요각류의 평균 밀도는 176 ± 60.2에서 3685.9 ± 1190.2 inds.m^(-3)였고, 휴면란의 평균 밀도는 530 ± 348.4에서 9147.5 ± 6787.1 eggs.m^(-2)였다. 유전자 분석 결과 총 1,657개의 contigs와 32개의 OTUs가 Acartia omorii와 Brachionus속, unknown으로 동정되었다. A. omorii의 평균 밀도는 0에서 86.4 ± 27.5 inds.m^(-3) 였다. A. omorii와 휴면란의 밀도는 1월에서 5월에 상반된 패턴을 보였는데, A. omorii의 평균 밀도는 증가하였고, 반대로 휴면란은 감소하였다. 5월에서 7월에는 평균 밀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9월에는 A. omorii가 0 inds.m^(-3)에 가까울 정도로 아주 적게 출현하였으나 휴면란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다대포 연안에서 저층의 휴면란은 표층 요각류 군집의 계절적 변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Author(s)
박채린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2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630
Alternative Author(s)
Chailinn Par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박원규
Table Of Contents
List of Figures ⅲ
List of Tables ⅳ
Abstract ⅴ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 and methods 3
2.1. Study area and sampling 3
2.2. Laboratory analyses 5
2.3. Statistical analyses 7
Ⅲ. Results 8
3.1. Temperature and salinity 8
3.2. Seasonal variations 10
3.2.1. Zooplankton communities 10
3.2.2. Copepod communities 13
3.2.3. Resting eggs 17
3.3. Molecular identification of resting eggs 19
3.4. Seasonal occurrence of adults and resting eggs of Acartia omorii 21
3.5. Correlation of resting egg production and temperature and salinity 23
Ⅳ. Discussion 25
Ⅴ. References 29
Ⅵ. Acknowledgements 3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