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재개발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Revitalization Scheme of Port Redevelopment Project: Focused on Busan North Port
- Abstract
- 국제해운항만 환경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노후화 또는 유휴화된 항만공간에 대한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부산 북항이 우리나라 최초로 항만재개발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항만재개발 성공사례 및 개발사례 분석과 부산 북항의 재개발 여건분석 등을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항만재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공공성과 사업성의 조화, 재원조달 및 재정지원 체계 수립, 지자체 및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 해양관광문화산업과의 연계 강화, 주변지역(원도심)과 연계된 개발전략 수립, 항만재개발 대상지별 차별성 제고, 규제완화 및 다양한 인센티브 도입 등이다. 향후 대상지별 항만재개발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제기되는 여러 쟁점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사업의 활성화 및 개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international port environment changes drastical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development of existing aged port space. In line with this trend, Busan North Port started the port redevelopment projec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revitaliz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which is leading the redevelopment of ports in Korea through analyzing success cases and development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ports and analysis of redevelopment conditions of Busan North Port. The plan to revitalize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cludes the harmonization of public and business feasibility, the establishment of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the active gathering of opinion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the linkage with the marine tourism culture industry,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strategy linked with surrounding area(Downtown), development of differentiation of port redevelopment sites, deregulation and introduction of various incentive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such as continuously studying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port redevelopment project by site and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business.
- Author(s)
- 지성훈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부산 북항 부산 북항재개발사업 항만재개발사업 활성화 방안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4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492
- Alternative Author(s)
- Ji Seong H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 Department
- 경영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해운항만관리전공
- Advisor
- 하명신
-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ⅵ
Abstract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Ⅱ. 선행연구 고찰 5
1. 항만도시 5
가. 항만도시의 성장배경 및 발전 5
나. 항만도시의 특성 9
다. 선행연구 검토 10
2. 항만재개발 11
가. 항만재개발의 개념 및 배경 12
나. 항만재개발의 유형 및 특성 12
다. 해외 항만재개발의 유형 및 특성 15
라. 선행연구 검토 19
3. 워터프런트(친수공간) 20
가. 워터프런트의 범위 20
나. 워터프런트의 특성 및 개발방향 22
다. 선행연구 검토 23
Ⅲ. 항만재개발사업 사례분석 25
1. 국내 항만재개발 사례분석 25
가. 인천항: 영종도 투기장 28
나. 인천항: 내항 1․8부두 31
다. 거제 고현항 34
라. 동해․묵호항: 묵호지구 1단계 38
2. 해외 항만재개발 사례분석 42
가. 영국 런던 도크랜드 42
나.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46
다.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49
라. 호주 시드니 달링하버 52
3. 항만재개발 사례분석의 시사점 56
가. 국내 항만재개발의 문제점 56
나. 해외 항만재개발 성공사례의 시사점 57
Ⅳ. 부산 북항재개발사업 여건분석 60
1. 부산 북항의 여건분석 60
가. 북항 여건분석 60
나. 북항 주변지역 여건분석 64
다. 북항 인문환경 분석 70
2. 부산 북항의 재개발 여건분석 72
가. 북항재개발사업 개요 및 현황 72
나. 북항재개발사업 기본계획 75
3. 북항재개발사업의 추진계획 81
가. 토지이용계획 81
나. 지구단위계획 82
다. 투자유치계획 83
4.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의 문제점 84
Ⅴ. 부산 북항재개발사업 활성화 방안 87
1. 공공성과 사업성의 조화 87
2. 재원조달 및 재정지원 계획 수립 88
3. 지자체 및 시민 의견 적극 수렴 89
4. 해양․관광․문화산업과의 연계 강화 90
5. 주변지역(원도심)과의 연계 방안 수립 91
6. 북항 재개발지역의 차별성 제고 92
7. 규제 완화 및 다양한 인센티브 도입 93
Ⅵ. 결론 94
1. 요약 및 결론 94
2. 시사점 및 한계점 95
참고문헌 9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해운항만관리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