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해양스포츠 지도자의 스포츠리더십이 참여자의 자기결정성,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인기 스포츠의 대열에 합류하는 해양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양스포츠 지도자의 스포츠 리더십이 참여자의 자기결정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참여 종목에 대한 표본은 해양스포츠 전체 종목 중 요트와 서핑, 윈드서핑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참여기관은 부산광역시의 교육기관에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요트학교와 송정 서핑샵 및 해양스포츠 관련 교육기관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의 5개월으로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검사지를 사용한 양적 접근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8문항, 스포츠리더십 15문항, 자기결정성 15문항, 운동지속의도 5문항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응답지의 성실 여부를 확인하여 검토하였고 최종 연구대상이 된 설문지는 Windows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분석 기법은 전문가 의견, 기술적 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한 후 독립변인과 종속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본 연구의 목적인 스포츠 리더십이 참여자의 자기결정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검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리더십, 자기결정성, 운동지속의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포츠 리더십의 지적자극 요인은 자기결정성의 자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리더십의 카리스마 요인은 자기결정성의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리더십의 카리스마 요인과 지적자극 요인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의 자율성과 유능성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rine sports leadership on self-determination and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of the participants among marine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yacht, surf, and wind-surfing). In order to do thi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7 Marine Sports participants.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participants at Yacht School, Song-jeoung surfing shop, and the Marine Sports education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period of survey was 5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in 2017. The method used to conduct the study was a quantitative approach by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slightly modified by in order to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developers of the original questionnaires are written in the mentions for informational purposes. The survey consists of 8 question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15 questions about sports leadership, 15 questions about self-determination and 5 questions about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which are a total of 43 question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357 were reviewed and the final results were analysed using Windows SPSS version 22.0, and all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adjusted to α = .05. The analytical techniques include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s of Sports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autonomy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charisma factors of Sports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petenc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lso, the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s of Sports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Second, the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s of sport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Third, The self-determination autonomy and compet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Author(s)
조효선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해양스포츠 리더십 자기결정성 운동지속의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4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150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Advisor
김용재
Table Of Contents
목 차

목차 ⅰ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ⅴ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가설 5
4. 연구의 제한점 6
5.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해양스포츠 9
2. 리더십 20
3. 자기결정성 32
4. 운동지속의도 40
5. 선행연구 고찰 44

Ⅲ. 연구방법 55
1. 연구대상 55
2. 측정도구 58
3. 연구의 모형 63
4. 연구 절차 64
5. 자료처리 방법 65

Ⅳ. 연구결과 66
1. 스포츠 리더십, 자기결정성, 운동지속의도 간의 상관관계 66
2. 스포츠 리더십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68
가. 스포츠 리더십이 자기결정성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68
나. 스포츠 리더십이 자기결정성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69
다. 스포츠 리더십이 자기결정성의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70
3. 스포츠 리더십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72
4. 자기결정성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73

Ⅴ. 논의 74
1. 스포츠 리더십, 자기결정성, 운동지속의도 간의 상관관계 74
2. 스포츠 리더십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76
3. 스포츠 리더십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78
4. 자기결정성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81

Ⅵ. 결론 및 제언 83
1. 결론 83
2. 제언 84

참고문헌 86
부록 9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