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황산화 키토산의 체외 항응고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 vitro Anticoagulant Activity of Chitosan Sulfate
Abstract
키토산(chitosan)은 게, 새우등 갑각류와 버섯과 같은 균류의 단백질 복합체 로써, 생물체의 외피와 골격을 구성하고있는 키틴(chitin)을 탈아세틸화 하여 얻어지는 다수의 아미노기를 가지고있는 다당이다.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셀룰로오스의 C-2위치의 수산기(-OH)가 아민기(-NH2)로 치환된 형태이다. 그러나 키틴은 아세틸아미노기가 수소결합을하여 강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기용매에 용해성이 좋지 않다. 키토산은 희석한 산용액에 잘 용해되기 때문에 다양하게 산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혈액에는 여러가지 응고인자가 많이 있어 응고인자가 활성화 되고, 응고기전에 의해 상처가 생기게 되면 지혈이 일어나게 된다. 혈액의 항응고제는 응고기전 중 한단계를 차단하여 활성화 되지 못하게 하여 혈액이 응고되지 못하게 한다. 항응고제는 혈전이 생길위험이 높은 경색증 환자에게 투여하여 응고를 억제하고, 혈액 검사시 응고가 되지 않는 검사에 사용된다. 항응고제의 종류로는 EDTA, Heparin, sodium citrate, sodium oxalate 등이 있다. EDTA, sodium citrate, sodium oxalate는 혈액중의 칼슘이온과 결합하여 응고기전이 진행되지 못하게 하여 항응고 효과를 나타내고, 헤파린은 antithrombinⅢ 나 heparin cofactorⅡ의 활성을 증가시켜 강력한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 현제 헤파린은 항응고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 다당류를 이용하여 헤파린과 비슷한 항응고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키토산을 황산화 시켜 분자량과, 분자비에 따라 나누어 N – hexanoyl chitosan sulfate(HSCOS)를 분리하여 APTT, PT, TT를 측정하고 헤파린과 비교하여 응고 억제 효과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였다. 헤파린 만큼의 억제 효과를 가지지는 않지만 APTT와 TT를 연장 시키는 것을 보아 내인계 응고인자와 공통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을 통해 어떤 응고 인자를 저해하는지 보니 2번인자와 10번인자 둘다 저해를 하지만, 10번인자를 2배 정도 강하게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황산화 키토산은 추후 연구를 통해 항응고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uthor(s)
정영동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2
Type
Dissertation
Keyword
anticoagulant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5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78
Alternative Author(s)
Young-Dong Je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Advisor
정원교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Table of contents iii
List of table vi
List of figure vii
1. Introduction 1
1.1. Hemostasis / coagulant pathway 1
1.2. Natural anticoagulants 2
1.3. Chitin / Chitosan / Sulfated chitosan 6
1.4.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nalysis 8
2. Materials and methods 11
2.1. Materials 11
2.2. Chitosan sulfate 11
2.3 Investigation of anticoagulant activity 12
2.4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12
3. Results 14
3.1. In vitro coagulation assay (in plasma) 14
3.2 Binding affinity assay 14
4. Discussion 21
5. References 2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바이오메디컬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