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어제의 실효적 이행체계와 제도적 효과에 관한 연구
- Abstract
- For the sustainable use of fisheries resource, Korea government had implemented a range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and fisheries management system. Despite th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catches was recorded less than one million tons in 2016 as having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t shows not only quantitative reduction, but causes decline in quality of catch owing to high rate of juvenile fish catch.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recommendation for each fish stock by Fish Stock Rebuilding Plans of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it suggests various form of fishing effort reduction such as seasonal closure, temporary closure, buyback program with fishing closure and the like. Concurrently fishermen has been insisting of implementation of fishing closure due to the juvenile fish. In other words, the academic world and fishery industry both have consent on the necessary of temporary closures and it is right time to study on the temporary closure. Thus, study on the effective introduction plan has undertaken as the center of large mackerel fishery.
A fisheries resource status, fisheries measure and other countries’ cases are analyzed and considered synthetically to build the implementation scheme of the interactive temporary closure u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purpose of temporary closure is set to rebuild the fish stock as protecting juvenile fish. After screening on a fish species, which is managed by TACs(total allowable catch) and fish stock rebuilding plans, and the type of fishing industry, the large purse-seine Chub mackerel fishing is targeted. Furthermore, it suggests a procedure of setting a closure period to protect juvenile Chub mackerel, a method of financial support to fishermen and operation based on the fishermen’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fish stock rebuilding plans or downward adjustment of TAC.
Lastly, the study assumes the effectiveness of the temporary closure in terms of fishery stock, fishing effort reduction, enhancement on the Catch-per-unit-effort(CPUE) and fisheries management and complementary role for existing fisheries management. In result, if the large purse-seine Chub mackerel not catch for the period has one year to grow, the biomass would increase up 800 to 992 tons and the fishing effort would decrease about 20.7%. Compared to before temporary fishery closure, CPUE increases 11.7% with the measurement. Furthermore, the result shows that the operating expense ratio decreases to 1.87% and the gross profit ratio increased 36.91% comparatively under the temporary closure. Additionally, the fishing closure and TACs will play a role as mutual supplementation as controlling a fishing effort and catch limit. Certainly, the present paper is limited in scope. Further studies on large scale and different type of fishing closure measure study are needed.
정부에서는 수산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 다양한 수산자원관리, 어업관리 제도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2016년 100만 톤 이하의 어획량 수준을 기록함에따라 제도의 실효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수산자원의 양적 감소뿐만 아니라, 미성어의 높은 어획비율로 어획물의 질적 저하도 지속되고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현재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자원회복계획에 따른 어종별 권고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금어, 휴어를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며 수산업계에서 휴어제 필요성을 지각하고 참여의지를 밝히고 있다. 현 상황을 타개하고 학계와 업계의 합치가 이뤄지는 이 시점이 휴어제 도입의 적기라고 판단하여 실효적 도입방안 연구를 대형선망 고등어어업 중심으로 착수하였다.
휴어의 정의와 휴어제 유형 및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수산자원현황과 어업관리제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고 현실적으로 적합한 휴어제 목적과 도입방법을 고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휴어제 목적은 알벤 어미자원, 치어를 포함한 미성어를 보호하여 수산자원의 전체 가입구조를 강화하는 수산자원회복 휴어제 운영이다. 단일어종 비율이 높은 업종, TAC 관리 적용 대상 어종 및 수산자원회복 대상어종 등의 기준으로 휴어 적용 대상 선정방법을 수립하고, 월별 미성어비율과 산란기를 고려한 미성어 보호에 적합한 휴어기 선정하였다. 그리고 TAC 하향 조정 또는 수산자원회복활동 참여에 따른 재정적 지원, 어업인 참여기반 휴어제 운영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대형선망 고등어어업 휴어에 따른 기대효과를 수산자원증대효과, 어업노력량감소효과, 어획능력향상효과, 어업경영개선효과, 기존 어업관리수단 보완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휴어기간 동안 어획되지 않고 1년 후에 어획될 시 800~992톤 증가하고 어획노력량은 20.7% 감소한다. CPUE는 휴어 전에 대비해서 11.7% 증가, 수지비율은 1.87%만큼 감소, 매출액어업이익율은 36.91% 향상하였다. 게다가 기존의 TAC제도와 기술적 수단과의 상호보완으로 어업관리 제도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기대하였다. 이 논문의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다른 업종을 위한 휴어제 도입 연구가 필요하다.
- Author(s)
- 이채령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6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076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수산경영학과
- Advisor
- 이상고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3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수산자원관리 현황 분석 4
2. 휴어제 개요 17
3. 휴어제 해외사례 23
4. 선행연구 분석 33
III. 대형선망 고등어 휴어제 이행방안 및 효과분석· 37
1. 휴어제 기초설계 37
2. 휴어제 운영체계 설계 38
3. 휴어제 기대효과 분석 63
IV. 요약 및 결론 76
참고문헌 80
문헌 외 참고자료 8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수산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