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thraquinone and naphthopyrone glycosides from Cassia obtusifolia seeds exhibit hepatoprotective activity via activation of the Nrf2/HO-1 and modulation of JNK/ERK/MAPK pathways in HepG2 cells
- Abstract
- 결명자(Cassia obtusifolia L. seeds )는 항돌연변이, 유전독성, 간보호, 급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써 전통적으로 중국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연구의 목적은 결명자의 n-BuOH 분획물에서 분리된 anthraquinone과 naphthopyrone 배당체의 간보효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것이다. HepG2 세포에서의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유도 간독성에 대하여 분리된 배당체들의 in vitro 간보호 효과가 측정되었다. HepG2 세포는 t-BHP (200 μM) 처리 전 24시간동안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과 사전 처리 되었다. 2시간 후, MTT 방법을 통한 세포 생존율이 측정되었고 세포 내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glutathione (GSH) level을 측정되었다. Nrf2/HO-1 발현 또한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게다가, MAPK 신호 경로에 대한 이 화합물들의 영향 또한 측정되었다. 하나의 anthraquinone glycoside, 1-desmethylaurantio-obtusin 2-O-β-D-glucopyranoside (1) 그리고 2개의 naphthopyrone glycosides, rubrofusarin 6-O-β-D-apiofuranosyl-(1→6)-O-β-D-glucopyranoside (2) 그리고 rubrofusarin 6-O-β-gentiobioside (3)이 반복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되었다. MTT 실험의 결과는 분리된 배당체들이 80 µM의 농도까지 독성이 없었고, 10, 20 그리고 40 µM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음을 보여주었다. t-BHP 유도 시 관찰되는 증가된 세포 내 ROS와 감소된 GSH level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방어 메커니즘을 통해 보호 효과를 가지는 배당체들의 처리를 통해 개선되었다. 흥미롭게도, rubrofusarin gentiobioside가 시험 농도 범위 내에서 양성 대조군인 silymarin (12.5 µg/mL)보다 보호 효과가 더 뛰어나게 나타났고 ROS 생성을 대부분 억제하였다. 게다가, 화합물의 사전처리는 Nrf2 매개 HO-1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배당체들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family에 속하는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그리고 p38 의 인산화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결명자로부터 분리된 anthraquinone과 naphthopyrone 배당체들이 HepG2 세포에서의 t-BHP 유도 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ROS 생성을 감소시키고 Nrf2 활성화를 통한 HO-1의 상향 조절과 JNK/ERK/MAPK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을 통한 간보호 효과를 제시한 것이다.
- Author(s)
- PAUDEL PRADEEP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7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7913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식품생명과학과
- Advisor
- 최재수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iii
List of Schemes vi
Abbreviations vii
요 약 viii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4
1. Plant material 4
2. General experimental procedures 4
3. Chemicals and reagents 4
4. Experiment methods 5
4.1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5
4.2 Isolation of Compounds 7
4.3 Cell culture 17
4.4 Cell viability and cytoprotective assay in HepG2 cells 17
4.5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17
4.6 Western blotting 18
4.7 Measurement of glutathione 18
5. Statistical analysis 19
III. Results 20
1. Cytotoxicity of isolated compounds 20
2. Effects on t-BHP induced hepatotoxicity 22
3. Effects o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OS in t-BHP treated HepG2 cells 24
4. Effects o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GSH in t-BHP treated HepG2 cells 26
5. Effect on Nrf2 mediated HO-1 expression 28
6. Effect on phosphorylation of MAPKs 30
IV. Discussion 34
V. Conclusion 39
VI. References 4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식품생명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