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Characteristics of winter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relation with wind systems in Jeju, Kore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제주지역 하층 풍계별 겨울철 강수분포 특성
Abstract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겨울철(12월, 1월, 2월) 장기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32개 하층 바람 (풍향 8 방위, 풍속 4 계급) 카테고리별로 제주도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강수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도에 설치된 33개 지점의 우량계, 2대의 S-band 도플러 레이더와 MSM-GPV 중규모 모델 자료를 사용하였다. AWS (Automated Weather System)로부터 0.5 m s^(-1) 이상 기록된 강수시간 (총 4970 시간)을 추출하고, 강수시간에 해당하는 고산과 성산 레이더 자료를 합성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자료로 (총 29,016개) 생성하였다. MSM-GPV 자료의 U, V 바람 성분을 이용하여 제주도로 유입되는 대표적인 환경 바람을 선정하였다. CAPPI 자료는 계산된 풍향, 풍속에 따라 32개 바람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시간-누적 평균한 후, Z-R 관계식을 이용하여 강수강도로 환산하였다.
겨울철 제주도에서 강수 발생빈도는 북풍 계열의 바람 (북서풍, 북풍, 북동풍)일 때 74.5%, 남풍 계열의 바람 (남서풍, 남풍, 남동풍)일 때 14.0%로 확인되었다. 북풍 계열의 바람에서 강수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남풍 계열의 바람에서 높고 뚜렷한 지역적 강수분포가 확인되었다.
북서풍 Class 3 (비교적 강한 바람; 10 m s^(-1)≤풍속<20 m s^(-1)), Class 4 (강한 바람; 풍속≥20 m s^(-1)) 환경에서 Fr 수 (Froude number; 프루드 수)가 1.0 이상으로 제주도를 넘어가는 바람이 우세하였다. 이에 따라 북서쪽 해상에서 형성된 강수시스템이 제주도 풍상측에서 수렴역과 활승바람 (upslope flow)에 의해 강수 증대가 발생하였다. 남서풍 Class 2 (비교적 약한 바람; 5 m s^(-1)≤풍속<10 m s^(-1)), Class 4 환경에서는 제주도 남쪽 수렴역에 의해 강수시스템이 형성되었다. Class 2 에서 Fr 수는 0.36으로 제주도를 우회하는 바람이 우세한 환경이었으며, 강수분포가 지역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Class 4 에서는 Fr 수가 0.74로 제주도를 넘어가거나 우회하는 바람이 함께 존재하는 환경이었으며, 활승바람에 의해 풍상측 사면에서 강수 증대가 발생하였다. 남풍 Class 2, Class 4 환경에서도 제주도 남쪽에 수렴역이 나타나지만 Class 2 에서는 낮은 Fr 수에 따라 동쪽으로 우회하는 바람과 함께 산 정상과 고도 250 m 이상의 동남동쪽 사면에서 높은 강수강도 분포가 나타났다. Class 4 환경에서는 남쪽 해상에서 이미 형성된 강수시스템이 제주도 남쪽 수렴역에 의해 발달하였고, 0.87인 Fr 수와 활승바람에 의해 풍상측에서 높은 강수강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겨울철 제주도로 유입되는 하층 바람 (925 – 850 hPa)의 풍향과 풍속에 따라 나타나는 강수분포의 위치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풍속이 강할수록 풍상측 사면으로 높은 강수강도 분포가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Author(s)
류경태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solated elliptically shaped mountainous region low-level wind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28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120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dvisor
이동인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 6
2.1 Data 6
2.2 Method 12
3. Result 17
3.1 Precipitation frequencies by wind categories 17
3.2 Precipitation distributions classified by low-level wind 21
3.2.1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north-westerly wind environment 23
3.2.2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northerly wind environment 26
3.2.3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westerly wind environment 28
3.2.4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south-westerly wind environment 30
3.2.5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north-easterly wind environment 33
3.2.6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southerly wind environment 35
3.2.7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easterly wind environment 37
3.2.8 Regional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south-easterly wind environment 39
3.3 Horizontal convergence and wind fields around Jeju Island 42
3.3.1 The horizontal divergence and horizontal wind distribution in the north-westerly wind environment 44
3.3.2 The horizontal divergence and horizontal wind distribution in the south-westerly wind environment 45
3.3.3 The horizontal divergence and horizontal wind distribution in the southerly wind environment 47
4. Discussion 49
5. Summary and Conclusions 54
References 5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