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Export Competitiveness of Lithuania and the Determinants of its Export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리투아니아의 수출결정요인과 수출경쟁력에 관한 연구
Abstract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총12년간을 걸쳐 리투아니아의 수출 경쟁력과 수출 결정 요인을 살펴봤습니다.
저자는 리투아니아의 수출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경제학자 발라사(Balassa)가 1965년에 최초로 소개한 현시비교우위지수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이하 RCA) 모형을 응용했습니다. 또한 리투아니아의 수출 결정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교역의 중력모형(gravity model of trade)을 응용하여 리투아니아의 주요한 수출 대상 제품 10개에 한해 추정해 봤습니다.
RCA 응용으로 얻게 된 결과에 따라서 리투아니아가2004-2015년 사이에 10경제 분야 중 8개에 걸쳐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S코드 분류 시스템에 따라 그 분야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4류- 낙농품, 새의 알, 천연꿀, 다른 류로 분류되지 않은 식용인 동물성 생산품 , 10류- 곡물 , 27류- 광물성 연료ㆍ광물유와 이들의 증류물, 역청 물질, 광물성 왁스 , 31류- 비료 ,44류- 목재와 그 제품, 목탄 , 85류- 전기기기와 그 부분품, 녹음기ㆍ음성 재생기ㆍ텔레비전의 영상과 음성의 기록기ㆍ재생기와 이들의 부분품ㆍ부속품. 특히, 리투아니아의 비료 분야가 비교적 최고의 경쟁력으로 선보였습니다. 이어서 낙농품 분야, 목재, 그리고 곡물 분야도 상대적 높은 경쟁률을 알려주었습니다. 반면에, 나머지 2개의 경제 분야들인 84루- 원자로ㆍ보일러ㆍ기계류와 이들의 부분품 하고 87류- 철도용이나 궤도용 외의 차량과 그 부분품ㆍ부속품 이 비교적 경쟁력을 선보이지 않았으면 지수가 1 단위를 닿지 못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추정한 결과, 리투아니아가 주된 경제 분야의 발전을 통해서 자국 수출 경쟁력을 증가시켰다는 사실이 들어납니다. 예를 들어, 2004년에 해당국의 현시비교우위 지수가 10개 분야 중 7개에 걸쳐 우위지수를 입증했으면, 2015년에 접어들어 우위 지수를 들어내는 분야 수가 10개 중 9개까지 달성했습니다. 단, 87류- 철도용이나 궤도용 외의 차량과 그 부분품ㆍ부속품 분야만 1 단위보다 낮은 결과를 냈습니다. 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가 연구 하의 기간인 12년간 사이에 9개 분야 전부가 발전 추세를 지켜왔으며 특히 10류-곡물 부문이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수출경쟁력을 5 배나 강화시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역의 중력 모형 추정 결과에 따라서, 리투아니아와의 상대 거래 국가의 1인당 GDP( per capita GDP) 리투아니아의 수출을 결정하는 주용 요인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리투아니의 GDP per capita가 대부분의 추정에서 높은 가치를 보였습니다. 리투아니아의 무역 개방도와 EU회원국 변수들이 GDP per capita 변수를 이어 두 번째로 대상국의 수출 추세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 두 개의 변수의 영향력이 거래 상대국의 GDP per capita보다 가치가 낮았습니다. 거리와 통화절상 변수들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수입국의 무역 개방도 와 노동생산성, 그리고 지역무역협정 유무 변수들이 각각 리투아니아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기했지만, 비교적 낯은 가치를 선보였습니다.
Author(s)
ABDURASULOV SARDOR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Lithuani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Gravity model of trade Pooled OLS Random Effect Fixed Effect Hausman test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30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006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지역학과
Advisor
황호선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요약 ii
TABLE OF CONTENTS iii
ACRONYMS iv
LIST OF TABLES v
LIST OF FIGURES vii
CHAPTER I INTRODUCTION 1
1. Economic Overview of Lithuania 1
2. Objectives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6
3. Literature review 6
4. Theory 13
5. Hypothesis 18
6. Methodology 19
7. Contribution 19
8. Structure of the Study 19
CHAPTER II EXPORT COMPETITIVENESS OF LITHUANIA 21
1. Data 21
2. Empirical findings of RCA calculations 21
3. Summary of RCA analyses 32
CHAPTER III EXPORT DETERMINANTS OF LITHUANIA 34
1. Data 34
2. Method and estimation procedures 36
3. Expected resul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39
4. Empirical findings of Lithuania’s export determinants 40
5. Summary of Lithuania’s exports 62
CHAPTER IV CONCLUSION 65
REFERENCES 6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지역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