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Unified and Non-Unified Ministry Identity Design
- Alternative Title
- 국가 정부의 통합 및 비 통합 디자인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인도네시아 정부 디자인을 중심으로
- Abstract
- 현재 국가 상징은 국가의 본질을 전달하는 국가 이미지를 구현한다. 그리고 국가 경제, 이념 방향, 역사, 전통, 사회 및 문화와 같은 국가 요소에서 파생된 정체성을 뜻하기도 한다. 국가 상징을 구현하는 요소는 국가 정체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국가 정체성 중 하나로 여겨지는 M.I (Ministry Identity)는 국가의 정부를 상징한다. 따라서 M.I는 맞는 국가 이미지와 정부의 기능을 국가적 및 국제적으로 잘 대표해야 한다. 그것 뿐만 아니라, M.I.는 특히 국민들에 의해 인식하기 쉬워야 한다. M.I는 통합 된 M.I 시스템과 비통합된 M.I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정부를 표현하는 인도네시아의 M.I (Ministry Identity)가 분석되었다. 인도네시아의 M.I가 국가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부족한 점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의 인식이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로고의 다양한 개념으로 인해 M.I 시스템에서 통일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도네시아의 M.I를 검토하고보다 나은 의사 소통을 제공하고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국가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그것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중요한 것은 M.I 디자인은 사람들이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정교하면서도 효과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1 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소개한다. 제 2 장에서는 M.I를 이해하고 인도네시아의 국가 상징을 검토하기 위해 국가 상징의 개념을 검토한다. 제 3장에서는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비통합된 MI 시스템을 가진 국가(코스타리카, 우크라이나, 리비아) 들과 통합 MI 시스템을 사용하는 국가(미국, 독일, 호주,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들을 분석 검토한다.
제 4 장에서는 인도네시아의 M.I와 두 범주의 M.I의 비교를 검토한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인도네시아의 M.I는 모든 분석에서 다양성을 보여 주며, 이는 인도네시아의 M.I가 M.I 시스템의 일관성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더 조사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인을 겨냥한 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인도네시아 인조차도 인도네시아의 M.I.보다 외국의 M.I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었다. 그 것뿐만 아니라, 응답자들은 인도네시아가 통합된 M.I 시스템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통합된 MI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국가 및 국제적으로 정부에 이점을 제공한다. 통합 MI는 국가 정체성과 관련하여 국가 차원에서 신중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각 부처는 국가 정체성과 함께 정부의 특성을 나타내는 상징을 개발해야 한다.
통합된 국가 정체성의 개발은 국가 정체성을 대표하는데 도움을 주며 국민의 자부심을 대표하는 국가 브랜드를 창출한다.
- Author(s)
- SARAS SYAZWINA SALIM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inistry Identity Identity Design Logo Desig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34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7956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dvisor
- 홍동식
-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and Aim 1
1.2. Thesis Outline 4
II.Theoretical Background 7
2.1. National Symbol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7
2.1.1. Concept of a National Symbol 7
2.1.2. Types of National Symbol 9
2.2. Ministry Identity 11
2.3.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nistry Identity 22
III. Analysis 32
3.1. Current state of the Ministry Identity of Foreign Countries 32
3.1.1. Foreign Countries using unified Ministry Identity 34
3.1.2. Foreign Countries using non-unified Ministry Identity 51
3.2. Current state of the Ministry Identity of Indonesia 66
3.2.1. National Symbol of Indonesia 66
3.2.2. Introduction to the Ministry of Indonesia 72
3.2.3. Ministry Identity Design of Indonesia 74
IV. Results and Discussion 85
4.1. Analysis of Ministry Identity of Indonesia 85
4.2. Analysis of Ministry Identity of Foreign Countries 98
4.3. Comparison of the Ministry Identity of Indonesia and Foreign Countries 105
4.4. Research Survey Results and Analysis of the Ministry Identity 112
V. Conclusion 122
References 12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