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광고 속 불확실성과 감정적 소구 요소 사이의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appeal in Advertisement
Abstract
본 연구는 Hofstede의 문화차원 이론 또한 Trompenaars와 Hampden–Turner의 문화차원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가장 큰 문화차이인 불확실성 회피성향, 감정주의성향에 따라 한국과 중국소비자들의 광고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런 문화차이에 따라 효과적인 국제광고 전략을 도출하려고 한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불확실성회피성향에 따라 한국소비자와 중국소비자의 광고태도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복합적 예술이라 평가되는 광고물이 불확실성만으로 국제광고 효과논의를 결정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일 수 있다. 불확실성 회피성향 외에 감정주의성향도 광고효과에 유믜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의 논의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가설과 연구문제를 세울 수 있다.

연구가설1 중국 소비자에게는 불확실성이 높은 광고물이 불확실성이 낮은 광고물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가설2 한국 소비자에게는 불확실성이 낮은 광고물이 불확실성이 높은 광고물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가설3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는 불확실성이 높은 광고물에 대한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가 다를 것이다.

연구문제 1: 불확실성과 감정소구 요소는 어떠한 상호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보일 것인가? 이 조절효과는 중국과 한국의 소비자들에게 상이하게 나타날 것인가?

본 연구는 기준연구와 일치하게 문화차원에서 불확실성 요소는 광고효과에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 되었다. 게다가 본 연구는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 요소에서, 중국 소비자와 한국 소비자 사이의 차이도 발견되었다.
연구문제의 결과를 보면, 중국의 경우, 감정적 소구와 불확실성 요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대의 광고효과를 도출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감정적 소구 요소와 불확실성 수준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대의 광고효과를 도출되었다. 두 나라 모두 가장 지양해야 하는 조건은 불확실성이 높으며 감정소구가 최소화된 경우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검증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국제광고를 기획 또는 제작하는 현업과 관련 학문 분야에 작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이효범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문화차원 불확실성 감정적 소구 광고효과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36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79151
Alternative Author(s)
LI XIAOF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김정규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장 문헌연구 5
제1절 광고크리에이티브 전략 5
1 메시지 소구방법에 관한 연구 5
1-1 메시지 소구의 정의 5
1-2 메시지 소구방식과 특성 6
1)이성적 소구 7
2)감성적 소구 8
2 국제광고와 메시지 소구 9
2-1 국제광고로서 메시지 소구 9
2-2 메시지 소구 전략논의 14
제2절 문화차원과 광고 16
1 문화차원 16
1-1 Hofstede의 5-D 모형 16
1-2 Trompenaars와 Hampden-Turner의 7-D 모델 25
2 문화차원과 광고커뮤니케이션 32
제3장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37
제1절 연구가설 37
제2절 연구문제 39
제4장 연구방법 42
제1절 실험설계 42
제2절 연구대상 42
제3절 주요변인의 조작 및 실험도구 42
1 독립변인 측정 43
2 종속변인 측정 45
2-1 광고태도 45
2-2 구매의도 45
제5장 분석결과 및 해석 46
제1절 기초분석 46
1 불확실성회피성향 측정 46
2 감정주의성향 측정 47
3 사전조사 47
제2절 가설 및 연구문제 검증 48
1 가설1의 검증 48
2 가설2의 검증 49
3 가설3의 검증 51
4 연구문제의 검토 52
4-1 연구문제1의 검토 52
(1) 중국소비자의 광고태도에서 불확실성과 감성적 소구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52
(2) 한국소비자의 광고태도에서 불확실성과 감성적 소구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55
(3) 중국소비자의 구매의도에서 불확실성과 감성적 소구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57
(4) 한국소비자의 구매의도에서 불확실성과 감성적 소구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59
제6장 결론 61
제1절 연구결과 및 논의 61
제2절 제한점 및 제언점 62
참고문헌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