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국가지도선에 승선하는 어업감독공무원의 인식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hip Practician’ Perception Analysis on the Fisheries Supervisory Official: Focused on the East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Abstract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어업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지리적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1966년 수산청이 발족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어업지도선 승무원에 관한 인식 및 요구분석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또한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 EEZ)이 선포되어 어업지도 단속해역도 넓어졌다. 국제적으로는 한·일 어업협정, 한·중 어업협정 체결로 인해 어업자원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며 불법외국어선의 증가로 아국어선의 어획량 감소 및 소득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 이에 따라 외국어선의 감독 및 불법 외국어선 단속 등 어업감독공무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으나 기능 및 규모적인 면에서 부족함을 엿볼 수 있다. 국가지도선 어업감독공무원은 특수한 근무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가지도선 어업감독공무원의 인식 및 요구분석 관련 연구의 시도가 다른 연구기관들에 비하여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업무가 선박에서 이루어지는 특수성을 고려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근무환경의 변화 속에서 어업감독공무원의 인식 및 요구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어업감독공무원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Author(s)
장종학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어업감독공무원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36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1722
Alternative Author(s)
Jong Hak Ja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Advisor
박종원
Table Of Contents
차 례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방법 2
가. 연구 범위 2
나. 연구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1. 동해어업관리단의 개요 4
가. 역사 및 조직 4
나. 주요 업무 7
2. 동해어업관리단 국가어업지도선 9
가. 주요 업무 9
나. 주요 활동 해역 10
다. 주요 실적 11
라. 정원의 문제점 13

Ⅲ. 연구 방법 15
1. 연구대상 15
2. 조사도구 17
가. 조사도구 17
3. 분석방법 19

Ⅳ. 연구 결과 20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0
2. 인력 실태에 대한 인식 22
가. 인력 배치의 적절성 22
나. 인력 충원의 적절성 24
다. 근무 인원의 적절성 26
라. 근무에 필요한 적절한 충원 수 28
마. 충원 시 업무 수행 능력 향상 30
2. 승진 및 보수에 대한 인식 32
가. 직급에 대한 인식 32
나. 승진 기회에 대한 인식 34
다. 승진제도 절차의 공정성 36
라. 근무평정의 공정성 38
마. 승진제도 개선의 필요성 40
바. 보수에 대한 인식 42
3. 출동 중 피로에 대한 인식 44
가. 출동기간 중 불법어업 단속 후 피로 인식 44
나. 출동기간 중 자고 일어났을 때 피로 인식 46
4.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48
가. 근무환경의 쾌적성에 대한 인식 48
나. 근무 중 사고 불안감에 대한 인식 50
다. 근무하고 싶은 지도선에 대한 인식 52
라. 출동기간 중 가사 어려움에 대한 인식 54
마. 지도선 개인 거주공간에 대한 인식 56
바. 지도선 공동 편의시설에 대한 인식 58
5. 직무에 대한 인식 60
가. 불법어업 단속 시 생명위협에 대한 인식 60
나. 불법어업 단속 시 부상을 당한 경험에 대한 인식 62
다. 불법어업 단속 시 부상으로 병원치료에 대한 인식 64
라. 직무 만족에 대한 인식 66
마. 직무 적성에 대한 인식 68

V. 결론 및 제언 70
1. 결론 70
2. 제언 76

참고 문헌 77

부 록 7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