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변공간을 활용한 수상펜션 디자인 제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sign Suggestion for the Pension on the sea utilizing waterfront : Focused on Ilgwang beach
Abstract
인간은 역사적으로 항상 바다 혹은 강 주변에 위치를 잡고 살아왔다. 이에 인간은 기본적인 의식주의 일정 부분의 충족과 삶에 있어 많은 혜택과 발전을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과학이 발전하고 사회가 산업화하면서 강보다는 바다의 이용 범위와 방법은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바다가 있는 도시는 항구로 강이 흐르는 도시는 농업 및 관광업, 해변이 있는 도시는 관광산업 및 수변공간을 발전시켜 지역의 특색과 함께 융합되었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가진 공간 또한 수변공간이지만 그곳에 발전이 더해지면서 수변공간을 찾는 관광객의 찾는 빈도는 증가한다. 발전된 수변공간을 찾는 관광객들에게는 여러 가지 제반 시설들이 필요한데 그 중 숙박시설은 필수적이다. 물론 당일로 찾는 관광객들이 있겠지만, 그것은 결국 그 지역주민이나 인근 지역거주자들에게 해당한다. 숙박시설은 위치가 그 지역을 여행하면서 중심지점이 된다. 만약 숙박시설이 수변공간의 주변에 있다면 숙박시설에 머무르는 기간 동안 그 수변공간을 주기적으로 이용하게 될 것이고 이는 부가가치 창출 및 수변공간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숙박시설은 깔끔하고 고급스러운지 혹은 저렴하고 위치가 좋은지, 수용 가능한 인원이 몇 명인지 등 이용자의 환경, 목적,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고려된다.
우리나라의 제2의 도시인 부산은 많은 축제, 박람회, 다양한 관광지들 그리고 부산의 바다 때문에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부산의 광안리의 수변공원, 자갈치 시장, 해운대 해변 및 동백섬, 2015년 새로이 수변공간을 조성한 다대포 해수욕장 그리고 요즘 서핑이 가능한 송정해수욕장 기장군으로 부산에 편입된 기장의 대변항, 일광해수욕장, 임랑해수욕장까지 다양한 바다와 수변공간이 존재한다. 위의 모든 수변공간이 다른 모습으로 유지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수변공간의 위치와 접근성, 규모 등의 수변공간의 발전의 정도가 모두 다르다.
외국의 경우 수변공간의 지리적, 환경적인 특색을 살려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한다. 그 속에는 다양한 숙박시설 또한 존재한다. 동남아의 섬들을 보면 그 섬의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숙박시설을 발전시켜 전 세계의 관광객들을 유치한다. 이는 자연을 즐기고 휴식하는 개념의 숙박시설로 소중한 자원인 바다를 자연 그대로 사용한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수변공간의 숙박시설을 특색을 있게 만들거나 다양화시킨다면 그 지역을 특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의 바다도 위와 같이 노력한다면 다양한 활용 방법이 있는 수변공간들이 만들어질 것이고 그 수변공간을 이용하면서 더 많은 선택의 폭을 넓혀 관광객들이 지역에 머물면서 주변 시설을 이용하게 된다면 지역의 발전 또한 가능하다.
본 논문은 부산의 일광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숙박시설 중 펜션의 구성 및 환경을 고려하고 펜션이 가져야 할 기본적 요소와 환경이 주는 특수성을 발전시킨 해상펜션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uthor(s)
김민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해상펜션 디자인 수변공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41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138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제 Ⅰ 장 서 론
제 2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가. 연구의 방법 3
제 Ⅱ 장 이론적 고찰
제 1 절 기본 용어에 대한 이해와 정리 5
가. 수변공간의 기본 개념 및 특성 5
(1) 수변공간의 개념 5
(2) 수변공간의 특성 7
나. 펜션의 개념 및 분류 9
(1) 펜션의 개념 9
(2) 펜션의 분류 10
다. 해상펜션의 개념 및 사례 20
(1) 해상펜션의 개념 20
(2) 해상펜션의 분류 22
(3) 해상펜션의 현황 및 국내외 사례 23
(4) 해상펜션의 문제점 30
라. 부산 수변공간의 이용현황 30
(1) 부산의 수변공간 30
(2) 부산의 수변공간 관광객 실태 31
제 Ⅲ 장 디자인 전개
제 1 절 대상지분석 38
가. 일광해수욕장의 환경 38
(1) 지리적 여건 38
(2) 접근적 여건 39
(3) 자연적 여건 40
(4) 이용자 현황 41
(5) 대상지 관광환경 분석 및 토지현황 42
나. 소결 46
제 2 절 디자인 제안 47
가. 설계 제시 47
(1) S.P.T MODEL 제안 47
(2) Floor 1 51
(3) Floor 2 53
(4) Floor 3 64
제 Ⅳ장 결 론
제 1 절 연구결과 70
제 2 절 향후과제 71
Abstract 73
참고문헌 78
학위논문 78
보고서 78
사진출처 78
감사의 글 8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