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엄마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ife Histories about the Experienced Difficulties of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Abstract
Abstract
Life Histories about the Experienced Difficulties of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Nurturing Their Children

Lee, Hwang So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d the narratives of two mother-teachers working by focusing on their difficulties while working in a kindergarten or a day care center and interpreted the meaning of life of mother-teac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in these day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hardships experienced as mother-early childhood teachers,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difficulties as a mother-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the teaching career life history of Mrs. Hong and Mrs. Lee?”
The narrative methods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tories of Mrs. Hong and Mrs. Lee working in a kindergarten and a day care center respectively were recorded and transcripted throughout seven interview sessions. The ideas after interviews were written in the form of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 attempted to add her own experiences and reflect herself with the researcher’s journal per each session, keeping the balance in data collection and data interoperation. Moreover, the researcher tried to demonstrate the narratives of the two mother-teachers’ semantics of experiences in texts composed of individual and unique events. Based on these texts, their narratives were classified into the themes according to the events and tim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hich were divided into inter-subjective subjects.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semantic texts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wo teacher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hat inductively derives the subjects through hermeneutical reading.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Above all, the themes were divided into the life history of the two mother-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m so that the key words including ‘I have a 3D job, an early childhood instructor’, ‘the forced sile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boundary between mother and teacher’, and ‘the alienation from policy discourse’ were deduced, which implied the meaning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wo mother-teachers, Mrs. Hong and Mrs. Lee. First, a mother-teache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recognized as a 3D job. For Mrs. Hong and Mrs. Lee, revealed such low job consciousness when experiencing marriage, pregnancy, miscarriage, turnover, and retirement. Second, they were forced to silence. Getting married, pregnant, giving birth and raising children led them to give up their work. The suppressed feminity could be seen in their lives. Third, they stood at the boundary between a mother and a teacher. They played a role as an instructor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did their best as a professional; however, they experienced a double burden of not having enough energy to take care of their own children when returning to home. Fourth, it was found how mother-teachers were marginalized from research and policy discourse on mother-teachers. Welfare policies for them should be offered with institutional resources. Next, the difficulties of Mrs. Hong and Mrs. Lee showed the following two aspects regarding the lives of the mother-teachers working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First,, caring, nurturing, and teaching children have been perceived as woman’s work from a traditional point of view, a woman who is also a mother tends to experience stress and burn-out while working as a teacher at the same time. Second, they hope for receptive and positive future even they ponder over the best choice in their daily lives and giving up for childre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two mother-teachers described the lives, worries, and conflicts of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children: the self-esteem as a teacher and responsibility as a mother, and their position and reality felt like other beings rather than an integrated existence. Although they also had strong will and vitality to overcome such challenges, they were excluded from policy and social consideration.
Second, the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children expecte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work-family balance or alternatives and wanted to find the appreciated position of a proud ‘mother-teacher’. Therefore, the socie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eachers’ treatment and welfare, and the relevant policies should focus on teachers in the actual fields, not lawmakers, with the field-oriented alternatives prepared. The institutional supplement for mothers and teacher training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that mother-teachers can offer is required as well.
Key words: career life,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 with children, the difficulties of mother-teachers
국문초록


엄마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 영유아교사 두 명의 교직 생애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이 경 화 유아교육학과 이 황 순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엄마교사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근무하면서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오늘날 자녀를 키우고 있는 영유아 엄마교사들의 삶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엄마교사로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엄마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교육 및 교사정책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홍교사와 이교사의 교직 생애를 통해 본 엄마 영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생애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각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홍교사와 이교사의 이야기를 7회의 인터뷰를 통해 녹취하고 녹취록을 전사하였다. 인터뷰 후 소감을 반성적 저널 형태로 기록하였다. 각 회별 연구자 일지를 통해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더하여 반성하고, 자료 수집, 자료 해석 등에 균형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두 엄마교사의 이야기를 개인의 사적이 사건들과 독특한 사건들로 구성되는 텍스트에서 체험이 갖는 의미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텍스트를 통하여 교사 개인의 이야기를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사건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화 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간주관적 주제들로 묶고, 두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의 의미 텍스트를 수집하고 해석학적 읽기를 통해 귀납적으로 주제를 도출하는 방식의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엄마 영유아교사의 생애와 두 엄마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으로 주제를 나누고,‘두 엄마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의미’에서‘나는 3D직업, 영유아교사다’, ‘임신과 출산의 강요된 침묵’, ‘엄마와 교사의 경계’, ‘정책담론에서의 소외’와 같은 주제어를 도출하여 홍교사와 이교사 두 엄마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엄마교사는 3D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홍교사와 이교사에게 결혼과 임신, 유산, 이직 및 퇴직을 경험함에 있어 이런 낮은 직업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둘째, 침묵을 강요당하고 있다.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하고 출산하여 자녀를 키우는 일은 나의 일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홍교사와 이교사의 생애를 보면서도 이런 여성성이 억압받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엄마와 교사의 경계에 서있다. 엄마교사로 역할하며 기관에서 인정받고 전문가로서 최선을 다하지만, 집으로 돌아와서 내 자녀에게 까지 쏟아낼 에너지가 없는 이중부담이 존재한다. 넷째, 엄마교사가 교사연구와 정책담론에서 얼마나 소외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엄마교사에 대한 복지 정책이 엄마교사로서 살아가는 지원이 되고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이교사와 홍교사의 어려움을 통해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엄마교사들의 삶에 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다시 떠올려 볼만한다. 첫째, 아이를 돌보고 양육하고 가르치는 일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여성의 일로 인식하기에 엄마인 여성이 교사의 직업을 병행함으로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다. 둘째, 엄마교사들은 자녀를 위한 포기와 현실의 삶에서 최선의 선택을 고민하면서도 수용적이며 긍정적인 미래를 꿈꾼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의 이야기를 통해서 본 자녀가 있는 기혼 영유아교사의 생애는 교사로서의 자존감과 더불어 엄마로서의 책임감, 같은 존재이지만 다른 존재처럼 느껴지는 위치와 현실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있다. 엄마교사들은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자아의지와 생활력 또 한 가지고 있지만, 정책과 사회적 배려로부터 소외되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자녀가 있는 기혼 영유아교사는 정책적 문제나,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대안들에 기대하며 인정받고 뿌듯한 ‘엄마교사’의 위치를 찾고 싶어 한다. 그러므로 교사의 처우와 복지에 대해 귀 기울여 줄 것을 기대하고, 정책이 기안자 중심이 아니라, 현장에 귀 기울이고 현장에 몸담고 있는 교사들을 향하기를 바란다. 이에 따라 현장 중심의 대안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엄마로서의 제도적 보완과 교사로서 엄마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또한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 교직생애, 자녀가 있는 기혼 영유아교사, 엄마교사의 어려움
Author(s)
이황순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교직생애 자녀가 있는 기혼 영유아교사 엄마교사의 어려움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42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79740
Alternative Author(s)
Hwang soon Le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이경화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차례 ⅲ
그림 차례 ⅳ
Abstract v
국문초록 ⅸ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영유아교사의 역할 7
2. 영유아교사의 삶 9
3. 생애사 연구 13

Ⅲ. 연구방법 17
1. 연구 동기 17
2. 연구 참여자 19
3. 자료 수집 23
4. 자료 분석 26

Ⅳ. 두 엄마 영유아교사의 교직생애 29
1. 홍교사 30
2. 이교사 52

Ⅴ. 두 엄마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의미 72
1. 나는 3D직업, 영유아교사다 72
2. 임신과 출산의 강요된 침묵 78
3. 엄마와 교사의 경계 82
4. 정책담론에서의 소외 89

Ⅵ. 논의 및 결론 100
1. 요약 및 논의 100
2. 결론 107

참고문헌 109

부록-연구 참여 동의서 116
감사의 글 11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