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활동 노인의 자아통합감 특성에 관한 연구
- Abstract
- 고령화 사회속에서 노인은 사회적 문제이자 젊은층이 떠 안아야 할 사회적 부담이다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경제력의 발전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경제력을 갖추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건강한 노년을 즐기는 노인들이 늘고 있다. 한편으로는 노인들도 젊은이들과 마찬가지로 인생의 목적이 있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며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면서 기존의 노인상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노인상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제 노년을 쇠퇴기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노년도 성장, 발전하는 존재이며 사회의 주체로 바라보아야한다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관점을 전환해야한다는 주장이 늘고 있다.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행복감을 느끼는 심리적 안녕상태에 이르게 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다. 건강, 종교, 경제력, 가족 간의 지지와 같은 인구학적인 요인에서부터 다양한 여가활동, 취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나 자원봉사활동과 같은 사회적 활동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성공적인 노화를 불러일으키며 궁극적으로 노인들의 발달과제를 완수하는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는 많다. 그러나 자아통합감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자아통합감이 어떠한 특성으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영상제작활동을 하는 노인들이 점점 늘고 있으나 영상제작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영상제작활동은 단순한 자원봉사활동이나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와는 달리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기술을 새롭게 익히면서 영상미디어를 통해 세상과 적극적으로 소통해나가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자신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영상제작 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노인복지관의 영상반 동아리 노인들의 영상멘토로 3년간 함께 하면서 노인들이 영상제작활동을 하면서 가지는 호기심과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즐거움 그리고 만족감과 성취감 그리고 새로움에 대한 열정적인 도전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고 이들이 보이는 자아통합감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위해서 영상제작활동을 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영상제작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3년 이상 지속적으로 영상제작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들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하였고 이들의 경험속에서 영상제작활동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의 특징과 관련한 어떤 주제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로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과 도전’ ‘인식의 변화’ ‘세대간 소통’ ‘새로운 역할의 발견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확대’ ‘자신감’ ‘성취감’ 등 6개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 Author(s)
- 남인숙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42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193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한혜경
-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01
Ⅱ. 이론적 배경 04
1. 노인과 자아통합감 04
1) 노인의 특성 04
2) 자아통합감 06
3) 자아통합감에 관한 선행연구 09
2. 노인들의 영상제작활동과 자아통합감 13
1) 노인미디어교육의 개념과 의의 13
2) 부산지역 노인미디어교육 현황 15
3) 영상제작활동의 특징과 자아통합감 20
(1) 영상제작활동의 특징 20
(2) 노인의 영상제작활동과 자아통합감 21
Ⅲ. 연구방법 26
Ⅳ. 연구결과 29
1. 영상제작활동 노인의 자아통합감의 특징 29
1)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과 도전하는 기쁨을 느끼다. 29
2) 인식의 변화 : 사물이 다르게 들어오다. 34
3) 디지털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세대간 소통을 이어가다. 36
4) 새로운 역할의 발견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확대되다. 39
5) 자존감이 높아지다. 42
6) 영상작품의 완성은 성취감으로 이어지다. 44
2. 영상제작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 46
Ⅴ. 결론 54
【참고문헌】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