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Alternative Title
- The canoni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다양한 하위 요인들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연령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성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정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총 12곳에 재원하고 있는 42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내적 합치도 계수(Cornbach` a)를 산출하여 척도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아존중감의 경우 Haltiwanger(1989)가 개발한 유아의 자아존중행동 측정-The Behavioral Rating Scale of Presented self-Esteem for Young Children척도를 최현미와 신동주(2011)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조절능력은 ERC (Shields와 Cicchetti(1997)의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유아를 대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한 여은진(2009)의 유아용 정서조절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독립심, 학업성취, 사회·정서성의 3개 변수로 구성된 자아존중감 변수군과 적응적 정서조절과 불안정 정서조절 변수군로 구성된 정서조절능력 변수군 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 간의 상호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로 작용하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령에 상관없이, 즉 3세, 4세, 5세 모두에서 자아존중감 변수군에 대한 정서조절능력 변수군의 예측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상관없이, 즉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자아존중감 변수군에 대한 정서 조절능력 변수군의 예측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에 관해 후속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age variable of young children?
2.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sex variable of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26 young children in 12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an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23.0 v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as the predictor of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hence, a causal and effec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regardless of age variable, emotional regulation variable groups were highly predicted to self-esteem variable groups of each 3-5 age groups. Third, emotional regulation variable groups were also highly predicted to self-esteem variable groups for both female and male young children.
- Author(s)
- 강수미
- Issued Date
- 2017
- Awarded Date
- 201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유아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정준상관분석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43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000002381514
- Alternative Author(s)
- kang, su m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아동심리및상담전공
- Advisor
- 이경화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 정의 5
가. 자아존중감 5
나. 정서조절능력 5
Ⅱ. 이론적 배경 7
1. 자아존중감 7
가. 자아존중감의 개념 7
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10
다. 자아존중감 관련변인 11
2. 정서조절능력 14
가. 정서조절능력의 개념 14
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 16
다. 정서조절능력 관련변인 18
3.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3
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23
나.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25
3. 자료 분석 26
Ⅳ. 연구결과 28
1. 유아의 연령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 변수군 간의 관계 28
2. 유아의 성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 변수군 간의 관계 33
Ⅴ. 논의 및 결론 39
1. 요약 및 논의 39
2.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 록 4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아동심리및상담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