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영어교과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Third and Fourth Grade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Focusing on Listen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5종 영어교과서의 듣기 문장에 사용된 소재와 의사소통 기능 그리고 듣기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소재, 의사소통 기능을 적절히 반영하였는지에 대해서와 듣기 활동이 얼마나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와 관련된 이론들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소재와 의사소통 기능 분석을 위해 각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의 연간 수업 지도 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소재와 의사소통 기능을 참조하여 듣기 대본과 듣기 문장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듣기 활동 분석은 듣기 활동이 주가 되는 교과서 각 1차시의 주요활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소재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교우관계), 사회생활(대인관계), 여가선용의 순으로 소재가 많이 제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3‧4학년 학생들의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 교과서가 제작되었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겠다. 하지만 잘 다루어지지 않는 소재의 사용 빈도를 높여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소재를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기능을 분석한 결과 정보전달 및 요구, 설득․권고, 사교활동 순서로 의사소통 기능이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는 의사소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묻고 답하는 활동과 관련된 기능과 사교활동으로서의 가장 기초적인 생활 요소와 관련된 기능이 듣기 문장에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이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5종 교과서에서는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성취기준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1차시의 주요 듣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 5종 교과서 모두 경우 모두 학습의 흥미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을 보면서 듣는 활동과 듣고 따라하는 활동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은 동일하였으나 세 번째로 나오는 활동이 각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지 못하고 21가지의 듣기 활동 중 극히 일부의 활동이 각 교과서에 제시가 되지 못한 점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2015 개정 영어과 초등교과서는 듣기 문장을 제시함에 학생들에게 친숙한 소재,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 기능, 학습의 흥미를 위한 듣기 활동을 적용하려고 노력하였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쉽고 친숙한 소재를 사용하여 즐거운 영어 수업을 위해 적절한 수준을 고려하여 제작되었다. 하지만 한쪽으로 편중된 소재, 의사소통 기능 및 활동은 앞으로 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영어 수업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Author(s)
유영길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3~4학년군 영어교과서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48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6358
Alternative Author(s)
Young-Gil Yo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Abstract v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과제 3
1.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2.1 2015 개정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듣기 영역 4
2.1.1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4
2.1.2 2015 개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영어과 교육과정 듣기 내용체계 4
2.1.3 2015 개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영어과 교육과정 듣기 성취기준 5
2.2 듣기 교육의 중요성 6
2.2.1 듣기 우선 학습의 장점 6
2.2.2 듣기의 전이 효과 8
2.3 영어교과서의 분석과 평가 10
2.3.1 Skierso의 교과서 분석 기준 10
2.3.2 McDonough와 Shaw의 교과서 분석 기준 11
2.4 의사소통 능력과 기능 12
2.4.1 의사소통 능력 12
2.4.2 의사소통 기능 13
2.5 선행 연구 15

Ⅲ. 연구 방법 17
3.1 분석 대상과 영역 17
3.2 분석 기준의 설정 및 분석 방법 18
3.2.1 듣기 자료의 소재 분석 18
3.2.2 의사소통 기능분석 19
3.2.3 교과서 듣기 활동 유형 분석 21
3.3 자료 분석 22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23
4.1 듣기 자료의 소재 분석 23
4.2 의사소통 기능 분석 31
4.3 듣기 활동 유형 분석 37

Ⅴ. 결론 및 제언 45
5.1 결론 45
5.2 제언 46

참고 문헌 4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