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rustal Velocity Model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 Alternative Title
- 한반도 남부지역 지각속도구조 연구
- Abstract
- 적절한 지각 속도 구조는 지진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관측된 P 및 S 파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한반도 남부의 새로운 3 차원 지각 속도 구조를 제시한다. 분석대상 지진은 기상청 발표를 기준으로 한 2001년 1월부터 2016년 12월 동안의 ML2.0 이상 내륙지진 181개이며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 관측망의 속도자료를 사용하였다. P 및 S파 도달시간은 수동으로 결정했고, 각 지진의 초기 진원은 VELELLIPSE 위치결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결정했다. 3 차원 Vp, Vp/Vs 구조와 새로운 속도구조로 역산된 진원을 얻기 위해 SIMUL2000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인 3 차원 속도구조는 초기 1 차원 속도구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속도 모델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VELELLIPSE 알고리듬을 이용해 진원요소와 최적의 속도구조를 구한 후 이벤트마다 최적의 속도구조들의 평균값으로 얻어진 1 차원 속도모델을 초기 속도 모델로 입력하여 새로운 3 차원 P파 속도구조와 Vp/Vs 비를 구하였다. 기상청 지진목록에 나타난 181개의 지진의 진원에 새로운 3 차원 속도 구조 적용하여 위치재결정 하였다. 같은 지진들에 대한 기존의 진원요소와 새로운 진원요소를 비교해봄으로써, 새롭게 결정된 3 차원 지각 속도구조의 적합성을 판단해보고자 한다.
- Author(s)
- 박은아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50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7934
- Alternative Author(s)
- Euna Par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dvisor
- 강태섭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ii
Abstract v
I. Introduction 1
1.1 Background1
1.2 Study Area 4
II. Seismic network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ata 7
III. Method 10
3.1 Location and Initial 1-D Velocity Model 10
3.2 Simultaneous Inversion 15
3.2.1 Psuedo-bending Ray tracing 17
3.2.2 Flexible Gridding 21
IV. Results 29
V. Conclusion 34
References 3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