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 Study on the Environment of Snow and Ice Accretion in the Heavy Snow Fall Region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다설 지역에서의 착설 및 착빙 발생 환경에 관한 연구
Abstract
본 논문은 고해상도 관측복원자료를 활용하여 상습다설지역에 대해 기상 상황 및 착빙설 발생 환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해상도 관측복원자료는 강수량, 기온, 풍향, 풍속 자료가 사용되었고 이는 과거 관측 자료를 초기자료로 지형효과를 고려하는 정량적 강우 모형, 정량적 기온 모형, 정량적 바람 모형으로부터 산출되었다.
대표적 상습다설지역인 강원도를 대상으로 송전선로 경과지의 빙설해 사고 발생 시 기상상황과 착빙설 발생 환경을 분석하였다. 빙설해가 발생한 송전선로에 대해 사고 발생 당시의 강수량, 기온, 풍향, 풍속에 대해 분석하였고 기온과 풍속 기준에 따른 착설, 착빙 구분표에 따라 착설, 착빙 발생 환경에 대해 분석하여 사고 원인을 추정하였다.
송전선로 설계에 있어 통계적인 기상 분석은 필수적이므로 겨울철 상습다설지역에 대해 재현기간별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확률강수량 추정을 위해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겨울철 강원지역의 적절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확률 강수량을 산정하였다. 1km 해상도의 관측복원자료를 이용하여 선정된 확률 분포형을 통해 격자별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착빙설 종류별 확률강수량 산정하여 분포도를 작성하여 착빙설 종류별 상습다설지역을 분석하였다.
Author(s)
심지한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착설 착빙 상세복원자료 고압송전선로 빙설해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50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7465
Alternative Author(s)
Sim, Ji H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dvisor
최원식
Table Of Contents
List of Figures ⅱ
List of Tables ⅳ
Abstract ⅴ

I Introduction 1
II Models, Data and Method 4
1. Models description 4
2. Data 5
2.1. Data for failure case analysis 5
2.2. Data for analysis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5
3. Method 7
3.1. Analysis of snow and ice accretion 7
3.2. Analysis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9
III Results 11
1. Analysis of failure case 11
1.1. CASE 1: 154kV Taebaek-Gohan T/L 14
1.2. CASE 2: 154kV Hoenggye T/L 27
1.3. CASE 3: 345kV Donghae-Sinjechun T/L 36
2. Analysis of probable precipitation 48
2.1. Determination of optimum probability distribution 48
2.2. Analysis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53
IV Summary and conclusion 58
V References 6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