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Mechanisms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Sequence
- Alternative Title
- 2016년 경주지진의 진원 메커니즘
- Abstract
- 한반도에서 계기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로 최대 규모인 ML 5.8 지진이 2016년 9월 12일 11:32:54 (UT)에 한반도 동남부 경주 인근에서 발생하였고, 본진이 발생한 후 수많은 여진들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판 내부 지역에 위치한 한반도는 판 경계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지진활동도가 낮고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경주에서 발생한 연쇄 지진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진의 원인이 되는 단층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을 추론하기 위해 2016년 9월부터 2018년 4월 사이에 발생한 193개의 지진(ML > 2.0)을 분석하였다. 진원 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VELELLIPSE 위치 결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였다. 결정된 진원은 양산단층과 덕천단층 사이에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진원 깊이는 12-15 km에 주로 분포하였다. 또한 깊이에 따른 진원 분포는 동남동 방향으로 약 70°의 경사를 보였다. 단층면해는 P파 초동 극성을 이용한 방법과 파형 역산을 통해 결정되었다. 대부분의 단층면해는 북북동-남남서 혹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주향이동 단층 운동이 우세한 게 나타났고,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면해의 경우, 동남동 방향으로 약 70° 경사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진원 분포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국부 응력장은 STRESSINVERSE code를 통해 계산되었고, 최대 주응력은 거의 수평한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력으로 나타났다. 경주지진은 양산단층과 덕천단층 사이에 발달하는 부수단층이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우수향 주향이동성 단층 운동을 겪으며 발생한 단층 파열의 결과로 판단되고, 경주지진을 발생시킨 부수단층은 동남동 방향으로 약 70° 경사한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으로 추론된다.
- Author(s)
- 허다빈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57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7942
- Alternative Author(s)
- Dabeen He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dvisor
- 강태섭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iii
List of Tables ix
Abstract x
I.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Geological and tectonic setting 5
II. Data and Method 8
2.1 Data 8
2.2 Method 16
2.2.1 Hypocenter parameter 16
2.2.2 Focal mechanisms solution 19
2.2.2.1 FOCMEC 22
2.2.2.2 Waveform inversion 25
2.2.3 Estimating the orientation of borehole seismic station 28
III. Results 34
3.1 Hypocenter parameter 34
3.2 Focal mechanisms solution 37
IV. Discussion 48
4.1 Velocity model computed by VELELLIPSE 48
4.2 Local stress field 50
V. Conclusions 53
References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