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 Alternative Title
- Study Of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ized Children: Focused on the self-efficacy, parent-children open communication , teacher support
- Abstract
- 선행 연구에 의하면,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들은 대부분 학교에서 부적응행동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가정폭력을 경험한 모든 아동들이 학교에서 부적응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잘 적응하고 있는 아동들에 관심을 갖고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서 일반적 배경(성별, 학교)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아동복지법상 18세 미만에 해당하고 학교에 재학중이면서 실제 가정폭력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아동이다. 이들은 가정폭력으로 인해 보호시설로 분리되어 있거나 원가정에서 생활은 하지만 가정폭력 또는 아동학대 개입 기관으로부터 사례관리를 받고 있으며, 대상 수는 총 201명으로 불성실한 자료 86명의 자료는 제외하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115명에 대해 분석을 했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아동의 일반적 배경(성별, 학교급)에 따른 학교 적응유연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가정폭력 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가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은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아가 남아보다, 초등학생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보다 학교적응유연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는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배태상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가정폭력 아동 학교적응유연성 보호요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59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08560
- Alternative Author(s)
- Taesang, Ba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아동심리및상담전공
- Advisor
- 이희영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v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가.학교적응유연성 6
나. 보호요인 6
(1) 자기효능감 6
(2)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7
(3) 교사의 지지 7
Ⅱ. 이론적 배경 8
1. 가정폭력 8
가. 가정폭력의 정의와 특징 8
나. 가정폭력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9
2. 학교적응유연성 11
가. 적응유연성의 개념 11
나. 학교적응유연성의 개념 14
3. 가정폭력 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의 보호요인 15
가. 보호요인 17
나. 자기효능감 17
다.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19
라. 교사의지지 20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2
2. 연구도구 23
가. 자기효능감 23
나.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24
다. 교사의 지지 25
라. 학교적응유연성 26
3. 자료분석 26
Ⅳ. 연구결과 28
1.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일반적 배경(성별, 학교급)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의 차이 28
가.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의 차이 28
나.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급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의 차이 29
2.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 교사의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30
가.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 학교적응유연성의 일반적 경향성 30
나.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성별, 학교급,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 학교적응유연성과의
관계 31
다.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33
Ⅴ. 논의 및 결론 35
1. 논의 35
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아동의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차이 35
나.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38
2.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3
부록 – 설문지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아동심리및상담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