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쑥부쟁이와 미국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 Alternative Title
- Methanol extract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Aster pilosu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Abstract
- Obesity is a medical condition which induces a large number of diseases. Because of the major causes of obesity is excessive body fat accumulation in body by adipogenesis, novel studies focus on finding anti-adipogenic drug in natural product.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inhibitory effect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methanol extract (AAME) and Aster pilosus methanol extract (APME) on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In the results, both AAME and APME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dose-dependently in 3T3-L1 cells. In addition, expressions of key adipogenic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 α) and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 γ) were decreased in AAME or APME treated 3T3-L1 cells. Moreover, the PI3K/Akt pathway proteins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by AAME or APM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species of the Aster genus can be used as a basis of new anti-obesity drug development and diet food for obesity patients.
비만은 수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대사성 질환이다. 비만의 주요 원인은 지방 생성에 의한 신체의 과도한 체지방 축적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 내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거나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천연물에서 항 지방 생성 약물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 지방 세포의 지방 생성에 대한 단양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AAME)와 미국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APME) 결과에서 AAME와 APME는 모두 3T3-L1 세포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AAME 또는 APME 처리 된 3T3-L1 세포에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 α)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 γ)를 포함한 중요한 지방 생성에 관련된 전사인자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또한, PI3K/Akt 경로에 속한 단백질들의 발현이 AAME 또는 APME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Aster속 두 종의 식물이 비만 환자를 위한 새로운 항 비만 약물 개발 및 식이 요법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Author(s)
- 윤보근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Adipocytes Adipogenesis Aster altaicus Aster pilosus 3T3-L1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62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581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산업미생물학과
- Advisor
- 김군도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2.1. 샘플준비 3
2.2. 세포 배양과 지방세포 분화(differentiation) 유도 4
2.3. 세포 생존율 분석 5
2.4. Oil Red O staining 6
2.5. 단백질 추출과 단백질 발현 분석(Western blot analysis) 7
2.6. 통계적인 분석 8
Ⅲ. 결과 9
3.1. AAME와 APME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세포독성 평가 9
3.2. AAME와 APME의 지방축적 억제 효과 11
3.3. 3T3-L1 세포에서 AAME 및 APME의 C / EBP α, PPAR γ, SREBP1 및 FATS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 13
3.4. 3T3-L1 세포에서 ERK 경로에 대한 AAME 및 APME의 효과 15
3.5. 3T3-L1 세포에서 PI3K / Akt 신호 전달에 대한 AAME 및 APME의 효과 17
Ⅳ. 고찰 19
Ⅴ. 요약 23
VI. 참고문헌 2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산업미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