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 진단 검사에서 검체뇨의 보관시간에 따른 배양결과 비교
- Alternative Title
- Effects of Cultivation Time on Bacterial Culture in Clinical Urine Tests
- Abstract
- 소변검사는 비뇨기계 질환의 진단 및 질병의 치료과정을 파악하기위해서 진단검사의학과에서 흔히 실시되고 있는 검사이다. 소변을 받은후 바로 배양하는게 가장 좋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에는 냉장보관을 24시간까지 하는것으로 전공서적(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에서 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냉장보관시간이 24시간이상인 경우에 미생물 배양결과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여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택된 병원에 입원 또는 내원한 환자들 중 미생물 검사가 의뢰된 소변을 채취 후 바로 배양시 집락이 자란 소변들 중 무작위로 191개를 선택하여 채취 직후 바로 배양한것(0일차)과 1일차 2일차 3일차까지 냉장보관한 소변을 배양하여 채취 직후 바로 배양한 결과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 관찰하였다. 배양결과와 Gram 염색 결과, 요로감염균의 주된 원인인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oginosa의 배양결과, 성별, nitrite, glucose 또는 protein의 유무의 영향, white blood cell (wbc)의 수와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채취 직후 미생물배양시 집락의 수와 비교분석한 결과, 대부분 기준에서 채취 직후 배양한 것보다 냉장보관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MF를 기준으로 0일차 72%에서 3일차 47%로 감소하였으며 3일차가 되면 집락의 수가 채취 직후 배양한 결과보다 25%감소하였다 특히 성별이 여자인 경우0일차 75%에서 61%, wbc의 수준이 many(39%-33%) 인 경우, glucos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66%-56%),nitrate Positive (90%-74%), Pseudomonas aeruginosa(92%~78%)로 채취 직후 배양결과에서 집락의 수가 105 이하의 조건에서는 냉장보관시간이 24시간이 되면 채취 직후에 비해 상당히 집락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냉장보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하루가 지나면 수가 조금씩 감소하는 경우와 몇몇의 경우에는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볼수 있었다. 정확한 배양결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소변을 채취 즉시 바로 배양하는 것을 권장하고 여의치 않을때는 최대 48시간 까지 전공서적(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냉장보관이 가능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신뢰할수 있는 결과를 얻을려면 24시간 이내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 Author(s)
- 김현우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소변배양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65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529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산업미생물학과
- Advisor
- 김경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연구 설계 5
Ⅱ. 연구대상 및 기간 6
2.1. 소변미생물 배양법 6
2.2. 배양 결과의 판단 7
2.3. 배양 결과의 해석 9
2.4. 배양균들의 동정 10
2.5. 배양에 영향을 줄것으로 예측되는 요인들에 대한 검사 10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2
3.1. 소변 미생물 검사의 전반적인 결과 및 채뇨 잭후 배양결과에따른 변화 12
3.2.냉장 보관시간에 따른 소변 미생물 배양에 nitrate의 유무가 미치는 영향 19
3.3. 성별에 따른 냉장보관시간별로의 소변 미생물 배양 23
3.4. Escherichia coli , Pseudomonas aeruginosa가 냉장 보관시간에 따른 소변 미생물 배양 결과 28
3.5. Glucose 유무가 냉장보관시간에 따른 소변 미생물 결과에 미치는 영향 32
3.6. Protein 의 유무가 냉장보관시간에 따른 소변 미생물 결과에 미치는 영향 37
3.7. WBC 개수가 냉장보관시간에 따른 소변 미생물 결과에 미치는 영향 41
Ⅳ. 고찰 45
Ⅴ. 참고문헌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산업미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