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아임계 및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갈색 거저리( Tenebrio molitor )로부터 회수 된 추출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racterization of Extracts Recovered from Mealworm (Tenebrio molitor) using Sub- and Supercritical Fluids
Abstract
밀웜은 거저리과( T e n e b ri o m o lit o r )의 곡물거저리속이며, 갈색거저리라고
한다. 전세계적으로 대량으로 양식되어 식품 또는 사료 이용의 목적으로 사용
되거나 애완곤충으로 판매되고 있다. 밀웜은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럄이 높고
특히 지방중에서도 불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C16), Oleic Acid (C18),
Linoleic Acid (C18) 이 주로 이루고 있어 식품산업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가능
성이 높다. 밀웜은 유기용매 및 물리 화학적인 방법으로 지방과 단백질을 추
출할 수 있지만 최근은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공정을 선
호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SCO2) 추출법과 아임계수 가수
분해 공정은 밀웜의 오일을 추출하고 잔류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얻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SCO2)
를 이용하여 압력과 온도에 따른 조건(40~50℃ / 15~30 MPa)을 제시하여 비
극성 오일을 추출하고 각 조건에 따른 추출 곡선을 비교하여 최적 수율 조건

77

을 확인하고, SCO2 추출법과 hexane을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오일의 성분과 안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오일의 최대 추출 수율은 온도
45℃, 압력 25MPa에서 최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오일의 산화안정성은
산가, 과산화물가,
p -Anicidine, 유리지방산으로 확인하였다. 산가, 과산화물가,
p -Anisidine 및 유리지방산은 유기용매로 추출된 지질보다 SCO2 추출 지질이
더 낮은 값의 결과를 나타내어 SCO2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이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보다 높은 산화 안정성을 나타냈다. 특히 25 MPa / 45℃
에서 추출되 오일의 산화안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일의 지방산 분석
을 위해 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였고 그 결과 SCO2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과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을 비교 하였을때 SCO2 추
출 조건에서 30 MPa / 45℃ 에서 추출한 오일의 불포화지방산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이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SCO2) 추출법은 이산화탄소뿐만이 아니라 극성보조용매를 사용하여 극성 물
질을 추출할 수 있다.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이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
로 추출할 수 없는 극성의 물질을 추출하였다. 비극성인 오일이 제거된 밀웜
단백분에서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추출을 진행하여 극성인 인지질을 추출하
였고 인지질 (phospholipid)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를 이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지질이 완전히 제거된 밀웜단백분은 아임계수
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얻은 뒤 가수분해물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가수분
해를 진행한 단백분은 초임계이산화탄소와 Shoxhlet으로 지질이 제거된 밀웜
단백분과 지질이 제거되지 않은 밀웜 분말을 사용하여 시료 비교를 하였다.

78

단백질을 주로 이루고 있는 밀웜단백분을 가수분해하면 압력과 온도로 인해
고분자의 단백질이 저분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기능적인 면
에서 뛰어난 가수분해물이 추출이 되며 다양한 기능적 특성을 알아볼 수 있
다. 아임계수 가수분해의 조건은 압력 30 bar, 교반 속도 200 rpm, 온도 150
내지 225℃로 하여 가수분해물의 특성을 확인했다. 가수분해물의 수용성 단백
질량, 당 함량, 항산화 능 등을 확인한 결과, 가수분해물내 함유된 수용성 단
백질과 당류의 함량은 가수분해온도가 높아지면서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조건에서 가수분해들중 특히 SCO2로 지질을 추출
한 후 아임계로 가수분해한 샘플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과 페놀화합물 등
높은 활성을 나타었고, 아임계수 가수분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활성또한 증
가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임계수 가수분해 온도가 상승할수록 단당류의 함
량이 증가하였고 수용성단백질의 결과도 증가하였다. SCO2로 지질을 추출한
밀웜 단백분으로 아임계가수분해한 조건 중 210℃ 에서 추출한 가수분해물에
서 항산화 능과 그와 관련된 페놀화합물 함량이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Author(s)
채솔지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식품 초임계이산화탄소 아임계수가수분해 밀웜 식용곤충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66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7466
Alternative Author(s)
Chae SolJ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전병수
Table Of Contents
Abstract ix
Introduction 11
Materials and Methods 17
1. Materials 17
2. Sample preparation 17
3. Method 18
3.1. Proximate composition 18
3.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18
3.3. Organic solvent Extraction 19
3.4. Characterization of Mealworm Oil 20
3.4.1. Acid value 20
3.4.2. Peroxide value 20
3.4.3. Free fatty acid value 21
3.4.4. p-Anicidine value 22
3.4.5. Phospholipid content 23
3.5. Analysis of fatty acid (Gas chromatography) 23
3.6.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SWH) 24
3.7. Yield of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25
3.8. Conventional Hydrolysis 25
3.9. Antioxidant activity 26
3.9.1. DPPH 26
3.9.2. ABTS+ 26
3.9.3. FRAP 27
3.10. Phenolic compound content 28
3.10.1.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28
3.10.2. Total Flavonoid content (TFC) 29
3.11. Protein content30
3.11.1. Lowy’s assay 30
3.11.2. Amino acid content 30
3.12. Sugar content 31
3.12.1. Total sugar content 31
3.12.2. Reducing sugar content 32
3.13.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mealworm hydrolysate 33
3.13.1. pH 33
3.13.2. Color measurement 33
Results and Discussion 34
1. Proximate composition 34
2.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yield 34
3. Characterization of Mealworm Oil 37
3.1.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37
3.2. Free fatty acid value and p-Anicidine value 40
4. Analysis of fatty acid (GC) 43
5.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SWH) 48
5.1. Yield of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with conventional method) 48
7. Antioxidant activity 51
8. Phenolic compound contents (TPC+TFC) 56
9. Protein content 58
9.1. Lowry’s assay 60
9.2. Amino acid content 63
10. Sugar content 66
11. Physical characterization 70
11.1. pH 70
11.2. Color 72
Conclusion 74
Reference 7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