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개념도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 Concept Map about Child Play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nowledge level of teachers 'play' through concept map.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teacher 's knowledge of the theater using the concept map analysis proposed by Novak and Gowin (1984) for 102 infant teachers and analyzed the superordinate concept and dependence concept. As a result, the superordinate concepts were 57, a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se similar terms, 8 superordinate concepts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pendency concept, the dependence concepts were 1,831, the general concepts "type of play" were 515 total, and the most dependence concept was included. Also, teachers the density of each concept map was 2.15 on average, and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of the teacher's play is not hierarchical and systematic, but the degree of parallel and overall integration is low.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at infant teachers can systematically organize and establish knowledge on recognition of play and educational play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 Author(s)
- 양애란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유아 유아교사 놀이 개념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68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08241
- Alternative Author(s)
- Yang Ae Ra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Advisor
- 이경화
-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유아의 놀이 6
가. 놀이의 개념 및 특성 6
나. 놀이와 유아의 발달 7
2. 놀이와 유아교육과정 12
가. 현행 국가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13
나. 국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과 놀이 17
3. 유아 놀이 관련 선행 연구 20
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 21
나.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22
4. 개념도 25
가. 개념도의 의미 25
나. 교사 개념도의 중요성 28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도구 31
3. 연구절차 31
가. 예비조사 31
나. 본조사 31
4. 자료분석 33
가.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개념의 내용 분석 35
나.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개념의 수준 분석 36
Ⅳ. 연구결과 41
1.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개념의 내용 41
가. 상위개념의 내용 및 빈도 41
나. 종속개념의 내용 및 빈도 42
2.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개념의 수준 52
가. 상위개념의 특성 52
나. 밀도 56
Ⅴ. 요약 및 결론 58
1. 요약 58
2. 논의 및 결론 59
6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