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면세점의 e-서비스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Moderating effect of Hallyu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ervice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Online Duty Free Shop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 인터넷면세점의 e-서비스품질 특성요인들이 한국 인터넷면세점에 대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인터넷면세점 e-서비스품질을 홈페이지 시각적 디자인, 고객서비스, 안정성, 그리고 경제성 및 편리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한국 인터넷면세점 e-서비스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차원별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문화적인 시점으로 한국 인터넷면세점을 사용하는 중국관광객이 가지고 있는 한류문화에 대한 감성적인 태도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기존연구와 일치하게 홈페이지 시각적 디자인, 고객서비스, 안정성, 그리고 경제성 및 편리성 모든 인터넷면세점 e-서비스품질 특성요인들이 중국관광객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 인터넷면세점의 e-서비스품질 특성 요인중 홈페이지 시각적 디자인과 경제성 및 편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류문화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와 한류문화 콘텐츠의 이용정도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마케팅의 전략적인 관점에서 정부나 면세업체가 양국의 대한 경제적인 정책 및 한류문화 콘텐츠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e-서비스품질, 한류문화 콘텐츠, 인터넷면세점, 중국관광객
This researchis based on the specific factors of the e-service quality in Korea's online duty-free shop, and the effect of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Korean online duty-free shop is empirically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 e-service quality of duty-free shops in Korea is divided into web page visual design, customer service, safety, and economy /convenienc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influence of e-service quality on purchasingintention in Korea duty-free shops is discussed.
And in this research, from a cultural perspective, we can grasp the effect of the perceptual attitude of Chinese tourists using Korean online duty-free shops on the Hallyu culture for the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first poin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the specific factors of e-service quality in Korea online duty-free shop, web visual design, customer service, security, and economy/conven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The second point, the specific factors of the e-service quality of the Korean online duty-free shop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web visual design and the economy/convenience, and then the Korean cultural industry's preference and the use degree of the Korean culture industry have a meaningful adjustme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the government or duty-free enterprises in the formulation of the economic policy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strategy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in the view of the Chinese market strategy.
Key Words: e-service quality, Korean cultural industry, online duty-free shops, Chinese tourists
本研究是通过韩国网上免税店e-服务品质的特定因素对韩国网上免税店的购买意图产生怎样的影响进行了实证分析. 在本研究中将韩国网上免税店e-服务品质分为网页视觉设计, 顾客服务, 安全性, 以及经济性/便利性. 以这种层面分类为基础分别探讨韩国网上免税店e-服务品质对于购买意图的影响.
并且在本研究中以文化的视角, 把握使用韩国网上免税店的中国游客关于韩流文化的感性态度对于购买意图的调节效果.
通过分析结果得知, 第一点, 与先行研究结果一致, 韩国网上免税店e-服务品质的特定因素网页视觉设计, 顾客服务, 安全性, 以及经济性/便利性都对中国游客的购买意图产生了积极的影响. 第二点, 韩国网上免税店e-服务品质的特定因素中网页视觉设计与经济性/便利性对购买意图有影响, 进而韩流文化产业的喜好度和韩流文化产业的使用程度产生了有意义的调节效果.
本研究的结果在中国市场战略的观点中, 对于政府或免税企业在制定两国的经济性政策以及韩流文化产业战略有一定的帮助.
关键词:e-服务品质,韩流文化产业,网上免税店,中国游客
- Author(s)
- HONG DANXI
- Issued Date
- 2018
- Awarded Date
- 2018.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서비스품질 한류문화 콘텐츠 인터넷면세점 중국관광객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69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09430
- Alternative Author(s)
- 홍단천
- Affiliation
- 부경대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정규
- Table Of Contents
- 1.서론 1
1.1.연구배경 및 목적 1
2.문헌연구 4
2.1.면세점산업 및 인터넷 면세점 4
2.1.1.면세점에 관한 연구 4
2.1.1.1.면세점의 개념 4
2.1.1.2.면세점 현황 7
2.1.2.인터넷 면세점에 관한 연구 9
2.1.2.1.인터넷 면세점의 개념 9
2.1.2.2.인터넷 면세점 현황 10
2.2.인터넷 면세점 효과연구 13
2.2.1.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13
2.2.1.1.서비스 풀질의 개념 13
2.2.1.2.서비스품질의 측정 14
2.2.2.e-서비스에 관한 연구 16
2.2.2.1.e-서비스의 개념 16
2.2.2.2.e-서비스품질 개념 17
2.2.2.3.e-서비스품질에 관한 선행연구 18
2.2.3.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23
2.2.3.1.구매의도의 개념 23
2.3.한류문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 25
2.3.1.한류의 개념 및 현황 25
2.3.2.한류문화 콘텐츠의 개념 27
2.3.3.중국에서의 한류문화 콘텐츠 28
2.3.3.1.드라마 콘텐츠 29
2.3.3.2.영화 콘텐츠 30
2.3.3.3.음악 콘텐츠: K-POP 31
2.3.3.4.예능프로그램 콘텐츠 32
2.3.4.한류문화 콘텐츠의 영향 34
3.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7
3.1.연구모형 37
3.2.연구가설의 설정 38
3.3.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41
3.3.1.측정 모형 41
3.3.2.e-서비스 품질 42
3.3.3.구매의도 45
3.3.4.한류문화 콘텐츠의 이용정도 46
3.3.5.한류문화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48
4.연구방법 50
4.1.설문 및 샘플 선정 50
4.2.자료 분석방법 50
5.실증분석결과 51
5.1.인구통계학적 특성 51
5.2.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54
6.결론 63
6.1.연구의 결론 63
6.2.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66
참고문헌 68
부록 79
중국어 설문지 79
한국어 설문지 87
ABSTRACT 9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