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나'와 '우리'의 사용 양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se of ‘na’ and ‘uri’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bstract
1인칭 대명사는 언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며 의사소통 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한다. 한국어는 대우 대상에 따라 대응 표현을 다르게 써야 한다. 그래서 인칭 대명사도 사용할 때 제한을 많이 받지만 중국어는 제한이 존재 하지 않다. 중국어와 한국어 1인칭 대명사의 대조를 통해서 한중 1인칭 대명사가 1대1로 대응 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가 ‘나’와‘우리’의 대해 오류를 많이 나오고 있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의 용례를 분석하여 ‘나’와 ‘우리’를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용 양상과 오류 양상을 살펴보며, 오류 원인을 분석하고 화용론 축면에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중국인 학습자가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1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나’와 ‘우리’ 사용 양상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가 ‘나’와 ‘우리’를 사용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 질문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대명사 체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 대우 대상에 따라서 제시된 용례를 번역하고 중국어와 한국어를 1:1 대응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점을 정리 하면 첫째, 형태적으로 보면 한국어 1인칭 대명사와 중국어 1인칭 대명사는 모두 단수와 복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한국어와 중국어 1인칭 대명사는 모두 생략 현상이 일어난다. 셋째, 한·중 복수 1인칭 대명사는 모두 청자 포함성과 청자 배제성을 가지고 있다. 차이점을 정리하면 첫째, 형태적으로 사용양상을 보면 한국어 1인칭 대명사는 중국어 1인칭 대명사보다 훨씬 많다. 둘째, 한국어 1인칭 대명사는 사용 제약이 있지만 중국어 1인칭 대명사는 제한이 없다. 셋째, 한국어와 중국어 1인칭 대명사는 모두 생략 현상이 일어났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실제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지를 만들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실제 사용 양상과 오류 양상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 ‘나’의 사용 양상을 보면 ‘호칭어 대신 지칭’의 용법을 모국어 영향을 받아서 중급 학습자부터 습득이 잘 되고 있다. ‘화자 지칭, 존칭 제약, 형태 변화’의 용법을 중급 보다 고급 학습자가 습득이 더 잘 되고 있다. ‘나’와‘우리’뒤에서 ‘명사류의 사용’한 용법에서는 중급부터 고급까지 습득되기 힘들다는 점을 보았다. ‘우리’의 사용 양상을 보면 ‘數의 사용’의 용법을 중급 학습자부터 습득 잘 되고 있다. ‘검정 표현, 화자 지칭’, 그리고 ‘나’와‘우리’ 뒤에서 ‘명사류의 사용’하는 용법을 나타나는 경우에서 중급 보다 고급 학습자가 습득이 더 잘 되고 있다는 점을 보았다. ‘존칭 제약’의 용법에서는 중급과 고급 학습자가 모두 습득되기 힘들다는 점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화용 정보의 제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교실 현장에서 사용되는 여러 한국어 교재에서 ‘나’와‘우리’의 용법이 초급 단계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화용적 설명이 교재 상으로는 극히 적게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대조 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어권 학습자나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어 권 학습자가 올바르고 정확한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필자의 능력이 한계로 인해 다루지 못했던 부분이 있어 양국 인칭 대명사의 화용을 더 완전하게 나타나기 위해 인칭 대명사의 변천 과정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Author(s)
QIAO DAN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우리 양상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71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16309
Alternative Author(s)
QIAO D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권성미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ⅳ

Ⅰ. 서 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선행 연구 고찰 및 필요성 2
1.3. 연구 방법 10

Ⅱ. 이론적 배경 13
2.1 한·중 인칭대명사 체계 13
2.2. ‘나’와 ‘我, 咱’의 대비 18
2.3. ‘우리’ 와 ‘我们, 咱们’의 대비 29

Ⅲ. 연구 방법 44
3.1 연구 대상 44
3.2 연구 도구 47

Ⅳ. 결과 분석 51
4.1 ‘나’의 사용 양상 51
4.2 ‘우리’의 사용 양상 56

Ⅴ. 결론 64

참고문헌 66
국문초록 69
부록 7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