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View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udience in Hip-Pop Music Audition Program : Focusing on Comparing with
Abstract
분 연구는 와 두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 중 양국의 시청자들이 각각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동기를 발견하고 양국의 시청자들이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해 가지는 시청동기의 차이에 대해 조사했다. 또한, 두 시청자 집단의 시청동기가 각각의 시청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진행 하였다.
우선 한국 시청자들이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주요 동기는 4가지로, ‘힙합에 대한 선호’, '사교/오락',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선호', '출연자에 대한 관심'이라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중 ‘힙합에 대한 선호’ 항목이 가장 주요한 시청동기 였으며 ‘사교/오락’,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선호’, ‘출연자에 대한 관심’ 항목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시청자들이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주요 동기 4가지를 발견했다. 그중 ‘힙합에 대한 선호’ 항목은 가장 주요한 동기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선호’, ‘신선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 ‘사교/오락’ 항목 순서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에는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관한 한 중 양국 시청자들의 시청동기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한국 시청자들에게서는 힙합 음악 프로그램의 ‘출연자에 대한 관심’ 동기가 독특한 시청동기로 나타났으며, 중국 시청자들에게서는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신선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 동기가 독특한 시청동기로 나타났다. 또한 ‘힙합에 대한 선호' 이 동기는 두 국가 통일하게 나타났는데, 이 시청동기 측면에서는 역시 한국 시청자들이 중국 시청자들보다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은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의 시청동기에서 찾아낸 2가지 주요요인 ‘힙합에 대한 선호’,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선호'는 모두 한국 시청자들의 내용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힙합에 대한 선호’,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선호', '사교/오락' 3개 요인은 모두 형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나아가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의 시청동기에서 추출한 3가지 주요 요인 '힙합에 대한 선호’,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선호', '신선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이 모두 중국 시청자들의 시청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 했다.
위와 같은 검증 결과들 통해 본 연구가 현재 아시아 시장에 힙합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제작 및 관련된 학술계에 작은 시사점과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한국이든 중국이든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자들이 많이 했던 것 같은데 힙합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연구 했던 자료가 아직 많지 않다. 이 논문을 통해 중국과 한국의 연구자에게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길 희망한다.
Author(s)
ZHANG WENJING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동기 시청만족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475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08204
Alternative Author(s)
장문정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이상기
Table Of Contents
목차 i
표목차 iv
국문 초록 ⅴ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힙합 음악의 개념, 발전 과정과 특성 5
1. 힙합 음악의 개념 5
2. 힙합 음악의 발전 과정과 특성 6
(1)한국 힙합 음악의 발전과정과 특성 6
(2)중국 힙합 음악의 발전과정과 특성 8
제2절 이용과 충족연구 10
1. 이용과 충족이론 10
2. 시청동기 13
(1) 시청동기의 개념 13
(2) 시청동기의 선행연구 14
3. 시청만조도 17
제3장 연구방법 20
제1절 연구문제 20
제2절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변인의 측정 22
(1)시청 동기 22
(2) 시청 만족도 23
3. 분석방법 25
제4장 연구결과 26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26
제2절 시청자의 개인 성향 29
1. 한국인 응답자의 텔레비전 시청현황 29
2. 한국인 응답자의 음악 청취현황 30
3. 의 시청 정도 31
4. 중국인 응답자의 텔레비전 시청현황 32
5. 중국인 응답자의 음악 청취현황 33
6. 의 시청 정도 34
제3절 연구문제의 결과 36
[연구문제 1]의 결과 36
[연구문제 2]의 결과 41
[연구문제 3]의 결과 45
[연구문제 4]의 결과 49
[연구문제 5]의 결과 55
제5장 결론 59
제1절 분석 결과의 요약 및 논의 5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4
참고문헌 66
부록 70
설문지 70
ABSTRACT 7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