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지역 소형평형 공동주택의 공간별 변화 및 특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196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아파트는 평면과 구조, 재료 그리고 관련 법규 등 많은 부분에서 변화와 발전이 거듭되었다. 또한 사회, 경제의 발전으로 사람들의 생활환경도 변화되었고, 생활환경의 변화는 건축 공간의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부산에 건립된 소형아파트(85m2이하)를 대상으로, 실내공간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특성을 알아보고, 소형 아파트의 향후 계획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공동주택, 아파트, 건축법규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문헌조사 하였고, 연구 대상의 선정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의무 관리대상 공동주택(아파트) 주택법 제48조에 의한 아파트를 부산광역시 16개 구, 군별 10여개 아파트로 선정하여 설계도면을 분석하였다.
소형아파트 공간의 변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능 공간(현관, 주방, 거실, 욕실, 주 침실, 부속 공간)으로 분류 하였다. 그 결과 1990년대 현관은 벽체가 없는 통로의 기능이었으나, 2001년경 현관이 넓어지고, 현재는 수납의 기능이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방은 과거 기본 가사의 기능에 충실했으나 현재는 LDK복합기능 공간이 되었으며, 주 침실은 확장형 발코니의 활용으로 거주자의 생활 습관에 맞는 디자인이 가능한 가변화된 공간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개 공간(현관, 주방, 거실, 욕실, 주 침식, 부속 공간)에 대한 결과는 3가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발코니의 확장으로 생활공간의 유효 면적이 증가 되었으며, 둘째, 경제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에 대한 소비 욕구의 증가로 건축 재료의 고급화가 가능해 졌으며, 마지막으로 건축기술의 발달로 가변적인 공간구축 가능해 짐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충족되는 디자인이 다변화 될 수 있게 되었다.
Author(s)
전신규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52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930
Affiliation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조영행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공동주택의 평면변화에 관한 이론고찰 4

2.1 공동주택의 정의 4
2.2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역사 및 현황 5
2.2.1 공동주택의 기원 5
2.2.2 공동주택의 역사 5
2.3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평면 변화와 변천사 12
2.3.1 평면형식의 변화 12
2.3.2 요소별 변화 16
2.3.3 연대별 변화 18
2.4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평형별 특징 26
2.4.1 평형별 단위평면의 변화 27
2.4.2 연대별 단위평면의 변화 34
2.5 선행연구 고찰 40

3. 공간의 시대별 기능 분석과 대안 제시 48

3.1 공동주택 공간별 요인 평가 틀 개발 48
3.1.1 분석기준의 설정 48
3.1.2 실내 공간 변화 기준 설정 50
3.2 시대별 공간 기능 비교 51
3.2.1 현관 51
3.2.2 주방 55
3.2.3 거실 59
3.2.4 공용욕실 63
3.2.5 주 침실 67
3.2.6 부속공간 71
3.3 소형 아파트 평면 계획 방향 제시 75
3.3.1 현관 75
3.3.2 주방 75
3.3.3 거실 76
3.3.4 공용욕실 76
3.3.5 주 침실 77
3.3.6 부속공간 78
3.3.7 소결 78


4. 결 론 82

참고 문헌 8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건축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