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직무몰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 Leadership on Job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Abstract
- 본 연구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개인의 셀프 리더십을 통하여 구성원의 직무몰입과 혁신행동을 자발적으로 발휘하도록 고취시키고, 이를 통하여 조직의 성장발전 및 개인의 성과향상을 동시에 추진토록 하고자 하며, 또한 상사의 리더십과 더불어 조직과 구성원들이 급변하고 있는 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데 꼭 필요한 개인의 셀프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직무몰입,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 직무몰입, 혁신행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부산지역에 소재한 여행사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한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셀프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부분채택 되었고,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도 부분채택 되었다.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부분채택 되었고, 셀프 리더십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는 채택되었다. 셀프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는 채택되었고,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6은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7은 채택 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분석 결과에 의하면, 여행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에서 독립변수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종속변수인 직무몰입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존의 여구들에서 다뤄지지 않은 것으로 향후 여행기업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여행기업의 조직관리에 있어서는 중간 관리자가 직원들에게 명확한 목표의식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직원의 업무목표 달성을 통하여 기업과 개인의 비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러한 중간 관리자의 노력은 직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자기의 업무를 관리하도록 하게 한다.
둘째, 여행기업 직원들의 긍정적인 직무몰입과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직원 스스로 업무수행을 위해 셀프리더십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셀프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시스템적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여행기업은 리더십 교육이 필요하며, 중간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상사 리더십교육에서는 개별적 배려 능력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하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 교육에서는 개인업무 수행에 대하여 스스로 긍정적 동기부여와 목표 설정을 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추진력을 길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omotes company members to become commitment in jobs and conduct innovative behavior for themselves through their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dividuals' self leadership so as to promote the organization's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s'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ed a positive verification of the impact relation between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job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 diary effect of self leadership a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self leadership, which, together with senior officers' leadership, is essential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o proactively cope with the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becomes more stressed.
To this end, this study set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a theoretical overview of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 leadership, job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positive verification,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employees who work at a travel agency in Busa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based on the positive analysis showed that Hypotheses 1, which is that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leadership, was fully adopted, and Hypothesis 2, which is that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ommitment, was fully adopted. Hypothesis 3, which is that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fully adopted. Hypothesis 4, which is that self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commitment, was fully adopted. Hypothesis 5, which is that self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fully adopted, and Hypothesis 6, which is that self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mediat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commitment, was fully adopted, and Hypothesis 7, which is that self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mediat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as fully adopted.
The positiv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 a positive study on travel companie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 leadership, a mediation parameter, on the relation between senior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 independent parameter, and job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dependent parameters, was confirmed. Since this result was not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leadership studies in future, which target travel agencies.
As for practical points, firstly, in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travel agencies, intermediate managers should be able to provide clear objectives and visions to employees and offer the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to achieve their vision through employees' achievement of job objectives. Such effort by intermediate officers will allow employees to set their objectives and manage their jobs for themselves.
Secondly, to result in travel agents' positive job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lf leadership that helps employees perform jobs for themselves. Thirdly, travel agencies require leadership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for senior officers, which targets intermediate managers, should help them strengthen individual capacity, while self leadership education targeting employees should help them set up and realize positive motives and objectives in relation to individual jobs.
- Author(s)
- 최범호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53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940
- Alternative Author(s)
- choi, beomho
- Affiliation
- 경영대학원
- Department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dvisor
- 류태모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4
3. 연구방법 및 범위 5
Ⅱ. 이론적 배경 7
1. 리더십 7
가. 리더십의 중요성 7
나. 변혁적 리더십 9
다.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 12
2. 셀프리더십 15
가. 셀프리더십의 개념 15
나. 셀프리더십의 구성 18
다. 셀프리더십의 선행연구 22
3. 직무몰입 24
가. 직무몰입의 개념 24
나. 직무몰입의 선행연구 27
4. 혁신행동 30
가. 혁신행동의 개념 30
나. 혁신행동의 선행연구 33
Ⅲ. 연구설계 35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5
가. 연구모형 35
나. 가설설정 36
2. 조사 설계 41
가. 조사의 개요 41
나. 설문지 구성 42
다. 분석방법 43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3
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43
나. 셀프리더십 43
다. 직무몰입 44
라. 혁신행동 45
Ⅳ. 실증분석 결과 46
1. 표본의 특성 46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9
가. 독립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49
나. 매개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51
다. 종속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52
3. 가설 검증 53
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 리더십의 관계 53
나.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의 관계 54
다. 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 56
라. 셀프 리더십과 직무몰입의 관계 57
마. 셀프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 58
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59
사.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61
4. 가설 채택 여부 62
Ⅴ. 결론 65
1. 연구결과의 요약 65
2. 연구결과의 시사점 66
3. 연구의 한계 68
참고문헌 70
설문조사서 87
ABSTRACT 9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