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앱 활용 효익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Determinants affecting Net Benefit of Smartphone App Usage
- Abstract
- 스마트폰은 다양한 차원의 개인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공적, 사적 업무를 처리하며, 동시에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확장에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대중화로 통화나 문자메시지 중심의 이용행태에서 무선 인터넷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이용자들은 제한 된 유명 앱 이용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앱들은 교체 및 삭제가 되고 소수의 앱만이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기계적 특성을 제외한 앱 만의 특성을 사용하여 지속적 사용에 대한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앱의 수용적 특성에 앱 품질적 특성을 추가하여 D&M 모델과 기술수용이론을 사용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앱의 고유 속성을 통한 앱의 사용 지속 의도 및 이용자의 유지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Author(s)
- 남영우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54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958
- Alternative Author(s)
- Nam, Young Woo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학과
- Advisor
- 이현규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1. 정보기술 수용에 관한 이론 5
가.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sed Action) 6
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7
다.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 8
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nhanc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10
마. 통합기술수용이론(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12
바.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 Ten-year Update) 14
2.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연구 19
가. 정보시스템 품질에 관한 연구 19
나. 기술 수용 이론과 관련한 연구 20
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고객 충성도에 관한 연구 22
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효익에 관한 연구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6
가. 연구 모형 26
나. 연구 가설 33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37
Ⅳ. 연구 결과 39
1. 요인 분석 39
2. 신뢰도 분석 39
3. 상관관계 분석 41
4. 가설의 검증결과 42
가. 앱의 지속적 사용 동기 요인과 지각된 유용성간의 가설 검증 42
나. 가설2와 3에 대한 검증 및 매개 효과 분석 43
다. 이용의도와 앱 활용 효익 간의 가설 검증 46
라. 앱 동기요인과 TAM에 대한 경험의 조절 효과 분석 47
마. 사회적 영향과 이용의도간의 경험의 조절효과 50
Ⅴ. 결론 52
1.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52
2. 시사점 및 한계점 56
가. 시사점 56
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58
참 고 문 헌 61
국내 문헌 61
국외 문헌 64
Appendix 70
Abstract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