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외인성 멜라토닌이 점망둑, Chamichthys dolichognathus 난모세포 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Ⅴ. 요약

본 연구는 in vitro 조건에서 발달단계가 다른 점망둑의 난모세포를 대상으로 난모세포 성숙과정에 미치는 외인성 멜라토닌의 영향을 밝히고자 멜라토닌 농도 구배에 따른 in vitro 배양실험을 통한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변화와 난모세포에서 생성․분비되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멜라토닌 농도별 (5, 10, 50, 100, 500 그리고 1000 pg/ml) 24~48시간 단일 배양후 GVBD 관찰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멜라토닌 (50, 100, 500 pg/ml)으로 사전 배양 4시간후 maturation inducing hormone (MIH) 50ng/ml을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실험에서는 멜라토닌 50 pg/ml로 사전 배양한 난황형성후기의 실험구에서 멜라토닌으로 사전배양하지 않은 MIH 50ng/ml로 24시간 배양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GVBD가 관찰되었다. 전구물질 [3H]17αOHP로부터 전환된 성 스테로이드 대사물질 확인 결과, 표준물질과 동일한 위치를 보인 물질은 A4, T, E1, 17α20αP 그리고 점망둑의 주요 MIH로 알려진 17α20βP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멜라토닌이 점망둑의 스테로이드 대사과정에 미치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Impacts from changes in photoperiod on reproductive events in fish are suggested to be mediated mainly through the action of melatonin. The changing patterns of plasma melatonin throught the day and year a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H-P-G-axis in the fish.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latonin in vitro during oocyte maturation in the marine fish, Chasmichthys dolichognathus, on the steroid metabolism and GVBD(germinal vesicle breakdown). Oocytes at three different stages (pre-vitellogenesis, mid-vitellogenesis, late-vitellogenesis) were incubated with (a) only melatonin(at concentration 5, 10, 50, 100, 500, 1000 pg/ml), and (b) both MIH and malatonin(4 hours incubated before addition of MIH). Incubation of oocytes in a medium containing only melatonin did not result in GVBD and steroid metabolism. However, incubation of oocytes with melatonin 4h prior to addition of MIH in the culture medium, led to an accelerated rate of GVBD in the oocytes. Thu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re-incubation with melatonin accelerates the action of MIH on longchin goby oocyte maturation.
Author(s)
김대근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58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996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백혜자
Table Of Contents
목 차

List of figures ⅱ
List of tables ⅲ
Abstract ⅳ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5
1. 실험어 5
2. 난모세포 배양 5
3. 난모세포 GVBD 효과 조사 8
4.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물질 분석 8
5. 통계분석 12

Ⅲ. 결과 13
1. 멜라토닌이 난모세포의 GVBD에 미치는 영향 13
1) 멜라토닌 단일 효과 13
2) 멜라토닌+MIH 효과 18
2. 멜라토닌이 난모세포 성 스테로이드호르몬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 20

Ⅳ. 고찰 25

Ⅴ. 요약 29

Ⅵ. 참고문헌 30

Ⅶ. 감사의 글 3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