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역외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Alternative Title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DF and Spot Market for Chinese Yuan
- Abstract
-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중국에서도 외환거래에 대한 자유화가 서서히 확대되어 왔다. 자유화과정의 일환으로 국내 외국환은행들과 비거주자간의 NDF거래가 허용되었다. 그 후 위안화에 대한 NDF거래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거래규모가 커지면서 중국내 위안/달러 현물환시장에 미치는 영향력과 중국경제에 대한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NDF시장이 중요해지면서 중국내 현물시장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안-달러 현물시장과 역외선물환(NDF) 시장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은 1차 복수통화바스켓제도시기인 2005년 7월 22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의 시기(MBS I)와 2차 복수통화바스켓제도 시기인 2010년 6월 19일 이후 2013년 8월 31일까지의 시기(MBS II)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시기에 대해 위안/달러 현물환율과 역외선물환율간의 불편선물환가설의 성립여부를 살펴보고 기존 선물환시장의 효율성 연구에 추가해 리스크 프리미엄의 존재여부를 검정하였다. 또한 두 시장 간에 선도-지연관계의 존재여부를 살펴보고 시간에 따른 변동성 전이효과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위안/달러 현물시장과 NDF시장간의 시장효율성가설은 기각되었으며 기각의 주요 원인으로 시간가변적 리스크프리미엄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장간의 정보전이 효과를 분석한 결과 MBS I 시기에는 두 시장간의 선도-지연관계가 존재하기 보다는 상호 동조화되어 시장정보가 양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MBS II 시기에는 NDF선물환율이 현물환율을 선도(lead)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 만기에 따라서는 만기가 짧은 1주일물에서 역외선물환율이 현물환율에 대해 강한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시장간의 변동성 정보전이효과는 NDF 거래가 덜 활성화되었던 MBS I 시기에는 현물환시장에서 역외선물환시장으로 변동성이 전이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반대로 NDF 시장에서 현물시장으로의 전이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외환시장간 연관성을 보다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해서는 시간가변적 리스크 프리미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시장의 세밀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안/달러 현물시장이나 NDF시장에 대한 미시적 관점에서의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안화 이외에 아시아 주요국가 통화의 대달러 NDF시장과의 비교분석도 위안화 시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Author(s)
- CUIJIANGLI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5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005
- Alternative Author(s)
- Cui, Jiang Li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이병근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 목차 iii
그림 목차 iv
Abstract v
摘 要 viii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3
제 2 장 기준연구 및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선행연구 5
제 2 절 역외선물환(NDF)시장 12
제 3 절 선물환시장의 효율성 13
제 4 절 외환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 가설 15
제 5 절 정보전이효과 17
제 6 절 시간 변화에 따른 변동성 전이효과 18
제 3 장 연구모형 및 안정성 검정 20
제 1 절 연구모형 설정 20
제 2 절 환율자료의 안정성 검정 26
제 4 장 실증분석 30
제 1 절 자료의 구성 및 기초통계량 30
제 2 절 안정성 검정결과 33
제 3 절 공적분 검정결과 34
제 4 절 선물환시장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35
제 5 절 시간가변적 리스크 프리미엄모형의 추정결과 40
제 6 절 정보전이효과 모형의 추정결과 43
제 7 절 변동성 전이효과의 추정결과 47
제 5 장 결론 50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50
제 2 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52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52
참고문헌 5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