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韓両言語における接尾辞「的」の使われ方
- Abstract
- 한일 양국의 언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미사는 단독으로 다양한 어휘에 붙어 사용되는 품사이다. 그러나 유사한 형태의 접미사라 하더라도 양국에서 공통된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미사「적」은 양국의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어느 한쪽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혹은 일본인 한국어학습자들은 모국어에 기초하여 학습언어에 적용함으로써 오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양국의 접미사「적」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어느 한쪽에서만 사용되는 경우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첫째, 『디지털 大辞泉』과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한 접미사「적」의 의미 분석 및 단어 추출이다.
둘째, 추출된 단어 가운데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와 어느 한쪽만 사용하고 있는 단어로의 분류이다.
셋째, 한쪽에만 등재되어 있는 단어가 상대국에서 사전에는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上接語가 사용된 바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다. 이 과정에서는 코파스(corpus)를 비롯하여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용례가 발견되지 않은 어휘는 한국 혹은 일본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는 전제를 두었다.
넷째, 한국 혹은 일본 어느 한쪽에서 용례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던「적」이 붙은 어휘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한일 양 언어의 사전 상에 있어서의 「的」의 의미는 명사, 특히 한자어에 붙어서,「그런 성질이 띰, ~에 관함, 그런 상태」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똑같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양 언어 사전의 등재어에 있어서 2자 한자어+「的」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대부분이 명사였다. 외래어와 결합한 형태로서 사전에 등재되는 용례는 거의 없었다.
3. 사전에 「的」이 붙는 형태로 등재된 수에서 보더라도, 한국어에 있어서 한자어와 결합하는「的」은 일본어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알 수 있었다.
4. 양 언어에 있어서, 접사가 붙는 3자 한자어나 4자 한자어는「的」 이 붙는 형태로 쓸 수 있지만,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는 똑같은 형태로 접사를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있어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5. 한국어 사전에만 등재 되어있는 어휘 중에서, 「的」의 上接語가 일본어 국어사전에 있고, 일본의 코파스나 사이트상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어휘는 아래와 같은 경향이 있다.
・중국어의 조사의 용법에 따라서, 일본어에서는 「的」의 대신 「の」를 사용한다.
・같은 뜻을 갖고 있는 다른 한자어를 사용한다.
・上接語의 한자의 일부를 써서 和語(한국어로 고유어를 의미한다)로 표현한다.
또, 「的」의 上接語가 일본어의 국어사전에 없지만, 일본의 사이트상이나 코파스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어휘는 한국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일본어 사전에만 등재되어 있는 어휘 중에서 한국의 코파스나 사이트상에 없는 어휘는 和語나 외래어 밖에 없었다.
7. 분석결과 양국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미사「的」을 포함한 단어는 양국의 사전에서 추출된 단어의 3배 이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Author(s)
- 中出菜穂子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61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019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 Advisor
- 손동주
- Table Of Contents
- 目 次
Ⅰ. 序論
1. 研究目的 1
2. 先行研究 2
3. 研究方法 4
Ⅱ. 本論 5
1. 日韓両言語の辞典上における「的」の意味 5
2. 辞典の見出し語に「的」が付く語彙 8
2.1 割合 9
2.2 品詞 10
2.3 語彙調査 12
2.3.1 両国の辞典の見出し語にある共通語彙 13
2.3.2 辞典の見出し語にはないが用例が見つかった語彙 18
3. 韓国語の辞典の見出し語にのみある語彙 29
3.1 「的」の上接語の品詞 29
3.2 日本のコーパス、サイト上にもない語彙 43
4. 日本語の辞典の見出し語にのみある語彙 74
4.1 「的」の上接語の品詞 74
4.2 韓国のコーパス、サイト上にもない語彙 76
Ⅲ. 結論と今後の課題 78
【参考文献】 8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일어일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