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거주구역 내 선실(CABIN)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Design on the Space of Living Quarter For Offshore plant
- Abstract
- 대륙의 화석(fossil) 연료인 석유와 가스의 국제에너지 흐름은 시대적 변화와 정치적인 불안전,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따라 에너지 수용증가, 세계적인 인구 증가 등의 이유로 석유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기 때문에, 에너지 수용증가에 따른 해양산업은 심해 및 극심해 유전, 가스 개발 확대와 맞물려 해양에서의 인간이 열악한 환경에서 노동과 휴식을 겸할 수 있는 해양 거주구 침실 공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해양 환경에 적합한 해양플랜트 거주공간을 "Living Quarters" 라 부른다.
해양플랜트에는 규모에 따라 수십 명에서 수백 명의 작업자들이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머물며 강도 높은 노동을 제공 한다, 보통 1개월부터2개월의 단기간의 노동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해양설비에서 노동을 제공하는 근로자들은 6개월에서 1년간 해양플랜트에서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해상작업 기간에는 휴일없이 하루 2교대로 작업을 한다. 이러한 작업자들을 위해 해양플랜트 내 리빙쿼터(Living Quarter)라고 부르는 거주공간을 안락하고 편안한 해양 거주구역 내 선실(Cabin) 공간을 디자인 계획 연구하고자 한다.
- Author(s)
- 이재기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69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107
- Alternative Author(s)
- LEE JAE GI
- Affiliation
-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마린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유상욱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적 배경 3
제1절 해양플랜트의 고찰 3
1. 해양플랜트의 개념 3
2. 해양플랜트의 종류 4
3. 해양플랜트의 목적별 분류 7
4. 해양플랜트의 현황 8
제2절 해양플랜트 관련 법규 9
1. 선급협회 및 법규의 종류 9
2. 국제법 적용 사례 14
3. 디자인 목적 59
제3절 해양플랜트 거주구역 선실 공간 개요 및 디자인의
필요성 60
1. 거주구역 선실(Cabin) 공간 개요 60
2. 거주구역 선실공간의 구분과 디자인 분석 62
3. 거주구역 선실공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69
제4절 선실 공간구성 76
1. 선실(Cabin)의 기능 76
2. 선실(Cabin) 공간의 구성 77
3. 실적선 선실(Cabin) 유형 및 특성 분석 80
4. 선실(Cabin) 공간 내 가구 배치에 따른 등선의 최적화 84
5. 순수 종합디자인 구성 85
제3장 선실디자인 및 설계 작성 기준에 대한 유의사항 90
제1절 거주구 계획도면 작성 기준 91
제2절 통로구역 94
제3절 내장재 96
제4절 가구배치 97
제4장 선실(Cabin)공간 방안제시 99
제5장 결론 10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