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호남전단대 주변에 분포된 선캠브리아 기반암과 변성퇴적암류의 저어콘 연대 분포와 그 의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서부 일대 호남전단대 주변에 발달된 선캠브리아 기반암과 변성퇴적암류에 대해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강진-해남 지역의 SHRIMP U-Pb 연대측정결과를 보면 선캠브리아 영전층은 약 1850 Ma의 불일치연령을 보이며 이를 통해 영전층을 고생대층으로 추정하여 고생대 초기의 화순탄전의 용암산층이나 삼척탄전의 장산규암층에 대비하여 퇴적시기를 최소한 고원생대 이후로 제한한다.
강진-해남 지역의 선캠브리아 갈두층은 신시생대, 고원생대, 고생대의 연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고생대의 연령 중에서 일치곡선 상에 집중되어 놓이는 가장 젊은 연령은 265Ma이며이 연대 값을 통해 갈두층을 평안누층군의 고한층에 대비하여 변성 퇴적암의 퇴적 시기를 페름기 이후로 제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주전단대를 사이로 각각 서쪽과 동쪽에 위치하는 영광-장성 지역의 시대미상 규암층의 쇄설성 저어콘 SHRIMP U-Pb 연대측정 결과를 보면 영광 지역은 신시생대, 고원생대, 신원생대, 고생대 연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옥천변성대 대향산규암층에 대비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장성 지역은 신시생대, 고원생대 연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영남육괴 장산규암층과 대비되는 연대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대 결과는 전주전단대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의 주 경계일 가능성을 지시한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HRIMP U-Pb age dating of the zircons from the Precambrian basement and overlying metasedimentary rocks distributed in the Honam Shear Zone of south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Analyses from detrital zircons from Precambrian Yeongjeon Formation in Gangjin-Haenam Areas yield a discordia age of ca. 1850 Ma. Through this, we assumed that Yeongjeon Formaion is Paleozoic Erathem and correlated with the early Paleozoic Yongamsan Formation of Hwasun Coalfield or Jangsan Quartzite of Samcheok Coalfield. The data indicate that sedimentation of Yeongjeon Formation should have occurred at least after Paleoproterozoic.
Analyses from detrital zircons from Precambrian Galdu Formation in Gangjin-Haenam Areas yield a predominant age population of Neoarchean, Paleoproterozoic and Paleozoic. The youngest detrital zircon age with clusters on a concordia curve is 265 Ma. This age distribution feature indicates that Galdu Formation is correlated with Gohan Formation of Pyeongan Supergroup. The data indicate that sedimentation of Galdu Formation should have occurred after Permian.
Yonggwang and Jangsung Areas are located on the western and eastern sides of the Jeonju Shear Zone, respectively. Analyses from detrital zircons from age-unknown quartzite of Yonggwang Area yield a predominant age population of Neoarchean, Paleoproterozoic, Neoproterozoic and Paleozoic that is correlated with Daehyangsan Quartzite of Okcheon Metamorphic Belt. In contrast, Jangsung Area yield a predominant age population of Neoarchean and Paleoproterozoic that is correlated with Jangsan Quartzite of Yeongnam Massif. These age distribution features suggest that the Jeonju Shear Zone is main boundary between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Yeongnam Massif.
Author(s)
하영지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70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115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dvisor
송용선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List of Figures………………………………………………… ⅳ
List of Tables………………………………………………… ⅷ
Abstract………………………………………………………… ⅸ
Ⅰ. 서 론 ………………………………………………………… 1
Ⅱ. 지질개요
1. 강진-해남지역…………………………………………… 4
2. 영광-장성지역…………………………………………… 7
Ⅲ. 암석기재
1. 강진-해남지역…………………………………………… 10
1.1 영전층……………………………………………… 11
1.2 갈두층……………………………………………… 15
1.3 덕룡산규암………………………………………… 20
1.4 송지층군 …………………………………………… 23
1.4.1 월송층 ……………………………………… 23
1.4.2 송종층 ……………………………………… 25
1.4.3 송호층 ……………………………………… 27
2. 영광-장성지역
2.1 영광지역 …………………………………………… 28
2.2 장성지역 …………………………………………… 32
Ⅳ. 연구방법
1. 분석시료
1.1 강진-해남지역……………………………………… 34
1.2 영광-장성지역……………………………………… 35
2. 분석방법………………………………………………… 36
Ⅴ. 결과
1. 저어콘 형태와 내부구조 ……………………………… 37
1.1 강진-해남지역
1.1.1 영전층………………………………………… 37
1.1.2 갈두층………………………………………… 40
1.2 영광-장성지역
1.2.1 영광지역……………………………………… 42
1.2.2 장성지역……………………………………… 45
2. 연대측정 결과
2.1 강진-해남지역
2.1.1 영전층………………………………………… 50
2.1.2 갈두층………………………………………… 53
2.2 영광-장성지역
2.2.1 영광지역……………………………………… 56
2.2.2 장성지역……………………………………… 59
Ⅵ. 토의
1. 강진-해남지역…………………………………………… 63
2. 영광-장성지역…………………………………………… 66
Ⅶ. 결론 …………………………………………………………… 68
Ⅷ. 참고문헌 ……………………………………………………… 69
요 약 ……………………………………………………………… 75
감사의 글 ………………………………………………………… 7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