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흑도제(黑陶製) 앤티크 스탠드 램프 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sign of Black ceramic archaize stand-lamp:Focus on the Formative(Moulding) Characteristics of Ancient Chinese Lamps
Abstract
1982년, 흑도는 짱추이(章丘)현 룽산(龙山)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그 문화 유물은 고고학계로부터 '룽산 문화'로 불리며 기원전 2500년부터 2000년 사이 흑도와 회도를 전형적인 상징으로 하였기에 흑도문화라고도 하였다. 흑도는 현재가지 이미 4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위로 양사오문화(仰韶文化), 아래로 은상(殷商), 좌측에는 채도, 왼쪽에는 청동을 포함'하고 있어 중화 문명 역사에서 원시 사회 룽산문화 시기 문물의 대표작으로 역사학자들은 이를 중화 문명 원시 문화의 보배라 부르며 그의 소박하고 엄숙하며 우아하고 고귀한 특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특색을 지닌 예술적 매력을 구성하였다.
현대 흑도 산업은 전체적으로 볼 때 번영한 발전 단계에 놓여 있지만 시장 경제의 조건에서 많은 전통적인 민간 수공예 제품과 같이 흑도 산업도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 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에서도 제품 수량이 적고 디자인이 동일한 문제가 존재한다. 일부 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 제품은 디자인에서 기능적인 수요와 어긋나고 디자인 수법이 졸렬하고 단일하며 스타일이 구겨지는 등 문제점이 존재했다. 본 논문은 '중국 고대 램프'를 대상으로 중국 고대 기기 조형 이론의 흥행과 발전의 역사과정을 바탕으로 중국 고대 스탠드 램프의 조형을 연구하여 각 역사 시기의 스탠드 램프의 조형적 특징을 총결하고 조형적 특징에서 나타난 옛사람의 조물 이념을 다듬고 심미 가치 취향과 조형의 여러 가지 영향적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특정 역사 시기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결합하여 고대 스탠드 램프의 디자인을 분석하고 옛사람의 스탠드 램프 디자인에서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구조, 형태 특징을 종합하여 그에 따른 규율을 통계하고 분석하여 그 안에서 대표적인 조형 요소를 추출하여 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와 기타 공업 제품의 조형 디자인에 참고 작용을 하는 와 마지막으로 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 제품 방안을 제시하였다.

논문의 주요 구성은:
제3장은 부동한 시기에 나타난 전형적인 램프 조형을 분석하고 각 시기의 시대배경을 결합해 그 조형의 역사적 변혁을 논술하고 램프의 조형요소와 그 속에 담겨 있는 설계 사상을 깊이 있게 논술한다. 중국 고대 램프 조형의 예술적 특징을 정리하고 중국 고대 램프 조형의 예술적 변화규칙과 현대 램프 설계에 대한 계시를 총결 짓는다. 그리고 정량 분석법으로 중국 고대 램프의 높이를 정리하고 분석한다. image map을 이용하여 중국 고대 램프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한다.
제4장은 흑도 스탠드 램프의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흑도 스탠드 램프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제3, 4장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해결 방안을 제기하였다.
제5장은 제품 디자인 및 제작 과정을 분석하여 디자인 사상의 제기를 통해 제품을 디자인하여 최종 제품의 제작을 완성하였다.
Author(s)
gongwei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71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124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제Ⅰ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제Ⅱ장. 이론적 배경 5
1.조명의 의의 5
2.광원의 종류 6
3.배광에 의한 분류 10

제Ⅲ장. 중국고대 램프 조형적 특징 13
1.조사방법 및 기준설정 13
2.중국고대 램프 조형 발전 과정 15
3.중국고대 램프 조형적 특징 27

제Ⅳ장. 흑도 및 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 37
1.흑도 역사 및 문화 37
2.흑도 재료 특성 및 응용 39
3.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의 현황 및 가능성 41
4.흑도 앤티크 스탠드 램프의 개발방안 47

제Ⅴ장. 작품 제작 및 해석 49
1.디자인 과정 49
2.작품 제작 및 해석 50

제Ⅵ장.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