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Vehicle Emission Factors in Tunnel Environment Based on Mobile Measurement
- Alternative Title
- 이동측정을 이용한 터널 내 차량 배출계수 산정
- Abstract
- 차량 배출은 도시 지역의 주요 대기 오염원 중 하나이며, 특히 질소산화물(NO+NO2; 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류권 화확과정에서2차 유기 에어로졸(Secondary organic aerosol; SOA) 및 오존 생산의 핵심 전구체로 작용한다. 차량의 배출가스의 연구를 위해 수십년전부터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 주행 조건 차량의 배출계수 산정을 위해 터널에서의 차량 배출계수 산정 연구는 과거부터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터널 내 오염물질의 농도 및 조성은 국가별 차량 조성과 주행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내 조건에 맞는 상세 배출계수 산출이 필요하다. 터널 내 오염물질은 외부오염원과 광화학반응을 제외한 터널을 통행하는 차량의 배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특히 차량의 실 주행조건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혼합된 환경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몇몇의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대부분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었고 고정관측으로 낮은 시간 해상도의 자료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정산터널에서 2019년 12월 10일, 11일, 26일, 27일 총 4일간 이동식 실험실을 이용하여 터널 내 오염물질을 총 12회 반복 측정하였다. 실시간정량분석이 가능한 선택적다중이온질량분석기(Selected ion flow tube-mass spectrometry; SIFT-MS) 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49종의 농도를 동시 측정하였고, 그 외 다른 장비를 이용하여 PM10, PM2.5, NOX, SO2, O3, CO2, CH4 등의 물질을 실시간으로 연속 측정 하였다.
기존의 터널 연구에서 사용되는 배출계수 산정식은 터널 내 두 지점간의 농도 차이를 이용하거나 터널 내·외부의 농도 차이에 의해 계산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지점의 선정 방법에 따라서 배출계수가 과소·과대 평가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관측을 이용해 터널 내 농도 구배를 이용해 기존의 식을 수정하여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이전의 터널 연구들에서 사용되는 고정 관측도 함께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이동 관측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농도 자료 이외에 배출계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인 터널 내 수평 풍속, 터널 단면적, 차량 통행량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평균배출계수는 CO2 (149,053 mg·km-1·veh-1), NO (379.92 mg·km-1·veh-1), NO2 (55.49 mg·km-1·veh-1), SO2 (29.15 mg·km-1·veh-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VOCs의 평균배출계수는 16.66 mg·km-1·veh-1 이었고, 그중 alkane 그룹이 70.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Ethane의 평균배출계수는 7.69 mg·km-1·veh-1로 휘발성유기화합물 개별 물질 중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배출계수는 차량 구성, 터널 길이 등 조건이 상이한 이전의 터널 연구 결과와 비교를 통해 터널 내 조건에 따른 배출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Author(s)
- Kyucheol Hwang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mission factors Mobile laboratory SIFT-MS Real-time measurement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14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0089
- Alternative Author(s)
- 황규철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dvisor
- 최원식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9
2.1. Monitoring site description 9
2.2. Sampling and instruments 13
2.3. SIFT-MS 17
2.4. Emission factor 25
3. Results and Discussion 30
3.1. Traffic characteristics 30
3.2. Concentration profile 33
3.2.1. Mobile measurement 33
3.2.2. Stationary measurement 40
3.3. Emission factors 44
3.4. Comparison with previous tunnel studies 50
3.5. Comparison with Chassis dynamometer tests 55
3.6. Evaluation of modified emission factor and suggestions for tunnel study 61
4. Conclusions 64
REFERENCE 6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