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imultaneous Analysis for Maltooil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 Abstract
- Charged aerosol detector (CAD)는 발색단이 없거나 자외선을 흡수하지 않는 화합물을 감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응용 범위가 넓고, 광학적 또는 이온화 특성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감도와 재현성이 우수하고, 경사 용출 호환성과 같은 장점이 있다. 말토올리고당 (Maltooligosaccharides, MO)과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s, IMO)은 식품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MO 및 IMO를 분석하는 방법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정확한 정량분석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HPLC-CAD를 사용하여 MO (DP2-6) 및 IMO (DP2-6) 분석을 위한 동시 분석 방법을 수립하고 검증을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아미노컬럼(HILICpak VG-50 4E) 및 CAD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과 물로 구성되었으며, 기울기 용리 조건으로는 ACN을 0분에서 50분까지 80%에서 66% 감소되고, 50분에서 60분까지 66%에서 60%로, 60분에서 60.10분까지 60%에서 80%로, 60.10분에서 65분까지 80%로 변화되도록 하였다. 유속은 0.7 mL/min, 컬럼 오븐 온도는 40°C, 시료 주입량은 5 μL로 분석조건을 설정하였다. CAD의 분석 조건은 증발기 온도는 40℃, 데이터 수집 속도는 5 Hz로 설정하였다. 직선성은 상관 계수(R2)로 표현하였으며, 모두 0.99 이상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imitied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ed of quantitation, LOQ)는 각각 3-12 ppm과 8-32 ppm이었다. 일내 및 일간 정확도는 93.6±2.3-109.5±0.4%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정밀도는 1.70-4.07%로 나타내었다. 새롭게 개발된 방법은 검증절차를 통해 MO와 IMO의 동시 분석에 적합하였다.
- Author(s)
- 양준호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14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856
- Alternative Author(s)
- Junho Ya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식품공학과
- Advisor
- 양지영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6
1. Materials 6
2. Standard preparation 6
3. Instrumentation 7
4. Chromatographic condition 7
5. Method validation 8
6. Statistical analysis 10
Ⅲ. Results and Discussion 11
1. Optimization of analysis method for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11
2. Validation of the method for analyzing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13
3. Linearity of the method for analyzing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14
4. Detection and quantitation limits of the method for analyzing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18
5. Accuracy of the method for analyzing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19
6. Precision of the method for analyzing mal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21
Ⅳ. Conclusion 23
Ⅴ. Summary 25
Ⅵ. References 2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식품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