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코어팔로워 지각의 직접 및 간접효과
- Alternative Title
-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erception on Core Followers in SNS Consumer Behavior
- Abstract
- This study aimed at validating the influence by the perception of core followers in the process of SNS influencer marketing, borrowing the perspective of a multi-step flow model. The core followers, which we originally named here, are those who publicly express affection and engage in passionate activities for an influencer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levels on the influencer account of Instagram. We hypothesized the perception of core followers influences both the influencer’s image on the cognitive level and the conformity of other followers on the affective level. And the cognitive and affective influence through influencer’s image and conformity have further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In addition to indirect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core follower though conformity and of influencer images, the direc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were also hypothesized to survive the statistical tes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re follower perception affects all sub-variables of conformity and influencer images. Among the images of influencer, integrity and professionalism influenced purchasing attitudes, and all sub-variables of conformity were also found to affect purchasing attitudes, so the effect of influencer images and of conformity on the perception of core followers were significant. Among influencer images, integrit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appearance attraction had a negative(-) effect. All sub-categories of conform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This study meaningfully identified a conceptual importance of core followers and their indirect effect among followers of SNS influencer marketing, leaving a suspicion regarding the direct effect of the perception of core followers on the purchase attitude and intention whether the influence is negative as was found in this study or to the contrary is positive as is hypothesized at first.
- Author(s)
- 남연주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인플루언서 마케팅 소비자 행동 코어 팔로워 동조성 인플루언서 이미지 2단계 흐름 모델 다단계 흐름 모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20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820
- Alternative Author(s)
- Yeon joo Na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용호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II. 이론적 논의 5
1. 인플루언서 마케팅 5
1) 인플루언서의 개념 5
2) 인플루언서 마케팅 7
3)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특성 9
(1) 인스타그램의 특징 9
(2) 인스타그램의 마케팅적 가치 10
4) 인플루언서 마케팅 연구의 한계점 13
2. 2단계 흐름 모델과 다단계 흐름 모델 17
1) 2단계 흐름 모델 17
2) 온라인 환경에 적용된 2단계 흐름 모델 18
3) 2단계 흐름 모델에 대한 비판점 22
4) 다단계 흐름 모델과 SNS 24
3. SNS와 팔로워 28
1) SNS 팔로워 관련 연구 28
2) 인스타그램의 코어 팔로워 31
3) SNS 인플루언서 마켓의 코어 팔로워 지각 38
4. 인플루언서 이미지 40
1) 전문성 41
2) 진실성 45
3) 매력성 48
4) 코어 팔로워 지각과 인플루언서 이미지 51
(1) 코어 팔로워 지각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52
(2) 코어 팔로워 지각과 인플루언서의 진실성 53
(3) 코어 팔로워 지각과 인플루언서의 매력성 53
5. 동조성 55
1) 동조의 개념 56
2) 온라인 환경에서의 동조성 57
3) 동조성의 분류 59
(1) 정보적 동조 60
(2) 규범적 동조 62
(3) 동일시 동조 65
4) 코어 팔로워 지각과 동조성 67
(1) 코어 팔로워 지각과 정보적 동조 68
(2) 코어 팔로워 지각과 서술적 규범 69
(3) 코어 팔로워 지각과 명령적 규범 69
(4) 코어 팔로워 지각과 동일시 동조 70
5) 동조성의 매개 효과 71
6. 구매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 72
1) 구매에 대한 태도 72
2) 구매 의도 73
3) 인플루언서 이미지와 구매에 대한 태도 74
4) 동조성과 구매에 대한 태도 75
5) 코어 팔로워 지각과 구매에 대한 태도 76
6) 인플루언서 이미지와 구매 의도 77
7) 동조성과 구매 의도 78
8) 구매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 79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80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80
1) 연구모형 설정 80
2) 연구가설 설정 81
2. 연구의 절차 및 구성 84
1) 연구의 절차 84
(1) 사전 조사 84
(2) 자료의 수집 85
(3) 연구의 대상 85
2) 설문 문항의 구성 86
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문항 87
(1) 소셜 인플루언서 87
(2) 코어 팔로워 지각 87
(3) 인플루언서 이미지 88
(4) 동조성 90
(5) 구매에 대한 태도 93
(6) 구매 의도 94
IV. 분석결과 95
1. 분석방법 95
2.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6
3. 주요 연구 변인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98
1) 코어 팔로워 지각의 탐색적 요인 분석 98
2) 인플루언서 이미지의 탐색적 요인 분석 99
3) 동조성의 탐색적 요인 분석 100
4) 구매에 대한 태도의 탐색적 요인 분석 102
5) 구매 의도의 탐색적 요인 분석 103
4. 주요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104
5. 주요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105
6. 구조모형검증 108
1) 확인적 요인 분석 108
2) 연구가설 검증 114
V. 결론 및 논의 120
1. 연구의 요약 및 결과 논의120
2.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130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34
참고문헌 137
부록 16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