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야구선수의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Relation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Self-Determined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ripartite Efficacy on Baseball Player in High School
- Abstract
- Grounded in tripartite efficacy theory (T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ation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self-determined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ripartite efficacy on baseball athlete students’ in high school. For this way, four-hundred eleven athle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eted the pack of questionnaire tapping the targeted variable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was used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showed that first, self-efficacy (i.e., confidence in their own capabilities) within tripartite effic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for baseball player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utonomic motivation and collective efficacy. Second, the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i.e., their coach’s confidence in their ability as a athlete) was positively associated for competence and relatedness with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ic and controlling motivation, whereas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autonomy and amotivaition. It also was negatively associated collective efficacy. Finally, other-efficacy (i.e., their confidence in their coach’s a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for autonomy, relatedness and collective efficacy, whereas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competence, controlling motivation and amotivation. More detail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고교 야구선수가 인식하고 있는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와 집단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경북에 있는 9개 학교 고교 야구선수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내 자기효능감은 자율성, 유능성과 관계성 욕구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계 추론 효능감은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유능성과 관계성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타인에 의한 자기효능감은 자율성과 관계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유능성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내 자기효능감은 자율성 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통제 동기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관계 추론 효능감은 자율성 동기와 통제 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무동기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타인에 의한 효능감은 자율성 동기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통제 동기와 무동기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내 자기효능감은 팀 전략, 지도자 신뢰, 의사소통과 훈련 등 집단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관계 추론 효능감은 팀 전략에만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지도자 신뢰, 의사소통과 훈련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타인에 의한 효능감은 팀 전략, 지도자 신뢰, 의사소통과 훈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 유형에 따라서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와 집단효능감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 삼분법적 효능감 유형은 야구선수의 욕구, 동기와 집단효능감에 행사하는 영향력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현장의 지도자는 선수의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 선수의 능력을 믿고, 어려운 과제를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실패하더라도 계속 응원해줘야 한다. 이러한 요소가 선수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욕구, 동기와 정서와 같은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행동적 변인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 Author(s)
- 배성철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관계 추론 자기효능감 타인에 의한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집단효능감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24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152
- Alternative Author(s)
- Bae sung chul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 Advisor
- 송용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가설 5
4. 연구모형 6
5.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1. 삼분법적 자기효능감 8
2. 자기결정이론 13
3. 심리적 욕구이론 16
4. 집단 효능감 20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측정 도구 24
3. 자료처리 38
Ⅳ. 연구결과 39
1. 기술통계 39
2. 상관관계 분석 44
3.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욕구에 미치는 영향 48
4.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영향 51
5.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4
6. 심리적 욕구가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영향 57
7. 심리적 욕구가 집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0
8. 자기결정동기가 집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3
Ⅴ. 논의 66
1. 삼분법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욕구에 미치는 영향 66
2. 심리적 욕구가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영향 68
3. 자기결정동기가 집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70
Ⅵ. 결론 및 제언 72
1. 결론 72
2. 제언 7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